earticle
촉진과 억제 요인이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에 대한 저항과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듀얼 팩터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Enabler and Inhibitor on the Resistance and Use Intention of Online Used Trading Platform : Focusing on the Dual Factory Theory
Platform contrasts with traditional industry in terms of innovativeness as it is rapidly developi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To redeem preceding researches which have separately focused on either 134건 적발 platform acceptance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r resistance factors against platform’s innovation, this study applied dual factor theory to check the simultaneous influence of enablers and inhibitors on resistance. This study chose purchasers of online used trading platform as a subject of study since it contrasts with other platforms in many characteristics.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past purchase numbers on the relations between resistance and use intention were also checked. The findings reveal that economic benefit as an enabler ha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resistance, but social influence didn’t have expected influence. In case of inhibitors, both perceived complexity and perceived 134건 적발 risk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istance. Though resistance ha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use intention, its influence was moderated into the positive direction as users’ purchase number increased. Lastly, resistance had mediation effect between antecedent factors (economic benefit and perceived complexity) and use intention.
정보 통신 기술과 함께 급격하게 발전한 플랫폼은 그 혁신성에서 전통 산업과 많은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기술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플랫폼의 수용을 촉진하거나, 혁신성에 저항하는 요인을 개별적 으로 연구하던 선행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듀얼 팩터 이론을 적용하여 촉진과 억제 요인이 소비자의 저항에 동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타 플랫폼과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의 구매자를 선정했으며,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이들의 과거 구매 횟수가 플랫폼의 저항과 사용 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같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촉진 요인인 경제적 이익은 저항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영향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억제 요인의 경우, 인지된 복잡성과 인지된 위험이 모두 저항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저항은 사용 의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용자들의 구매 횟수가 늘어날수록 그 영향력은 정(+)의 방향으로 조절되었다. 마지막으로 저항은 선행요인(경제적 이익과 인지된 복잡성)과 사용 의도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가졌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
2.2 듀얼 팩터 이론
2.3 저항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연구모형의 설정
3.2 연구가설의 설정
Ⅳ. 연구방법
4.1 자료수집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Ⅴ. 연구결과
5.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2 가설 검증 및 토의
5.3 조절 효과 분석
5.4 매개 효과 분석
Ⅳ. 결론
6.1 연구결과 및 의의
6.2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6.3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6.4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변수 및 측정 항목
Abstract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화장품 샘플’을 판매해도, 구매해도 안된다. 이는 관련 법상 온라인 판매 및 영업 허가 없는 개인의 판매가 불가한 품목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결정된 품목은 화장품, 종량제봉투, 기호식품, 수제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동물의약품, 시력교정용 제품, 의료기기 등 9종이다.
소비자원이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마켓, 번개장터(주), ㈜중고나라, ㈜헬로마켓의 1년간 유통된 거래 불가품목을 모니터링한 결과 △화장품 134건 △건강기능식품 5029건 등 총 5434건이었다.
플랫폼 4곳 모두 공지사항에는 주요 거래불가품목을 안내하고 있음에도 중고거래 이용자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절반(49.5%)이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물품 판매 게시글 작성 단계에서 플랫폼 2곳(당근마켓, 헬로마켓)134건 적발 은 이를 안내하지 않았다.
또한 중고거래 플랫폼 4곳 중 3곳(번개장터, 중고나라, 헬로마켓)은 사업자(전문판매업자)의 판매를 허용하고, 사업자 신원정보를 등록하거나 별도 사업자 판매 코너를 두어 개인판매자와 사업자를 구분하고 있었다.
그러나 플랫폼 판매 게시글을 모니터링한 134건 적발 결과 사업자가 개인 판매자로 위장해 게시글을 올린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확인됐다. 즉 동종 품목을 판매하는 온·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거나 동일인이 지속적·반복적으로 동종 품목을 판매하는 경우 등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중고거래 플랫폼 사업자에게 거래 불가품목 정보 제공 및 유통 차단 강화, 플랫폼 내 전문판매업자 관리와 신원정보 제공 강화 등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소비자는 거래 전 물품 및 거래조건에 관한 정보를 자세히 확인하고, 가능하면 대면 또는 비대면 거래 시 안전결제 시스템을 이용해 거래 불가품목은 팔거나 사지 않도록 당부했다.
아트스탁이 12일 공모사이트와 지분거래 플랫품을 하나로 통합한 새로운 환경의 사이트를 오픈했다.
아트스탁은 공모와 상장을 통해 미술작품을 1SQ(1cmx1cm) 단위의 지분으로 나누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미술품 지분거래 플랫폼이다. 지금까지 베타서비스 버전의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지적되었던 문제점이나 불편사항을 개선하고 보완해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134건 적발 선보였다.
아트스탁 측은 ‘Simple & Quick’에 중점을 두고 이번 리뉴얼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작품이 상장되기 전에 사전구매를 할 수 있는 ‘공모사이트’와 개인간 구매, 판매가 가능한 ‘지분거래 플랫폼’을 하나로 통합해 가입과 거래절차가 단순해졌다.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빠르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모바일 버전도 동시에 선보였다.
150여개의 공모작 중 구매율이 저조하거나 최종 상장심사에서 탈락된 작품들을 제외하고 현재 새로 오픈한 플랫폼에 상장된 작품은 60여점이다.
새롭게 개편된 플랫폼에서도 기존 가입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다만 지분거래 플랫폼(artstock.co.kr)과 공모사이트(artstock.com) 두 곳 모두 가입한 경우 사이트가 통합됨에 따라 지분거래 플랫폼(artstock.co.kr)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김진호 아트스탁 대표는 “정식 시스템이 완성되어 지금부터 진정한 그랜드 오픈으로 볼 수 있다”며 “고객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더 나은 시스템과 서비스로 보답할 것”이라고 말했다.
거래 플래폼
비주얼 IT
부가서비스
서비스 안내
패밀리 미디어
중고거래 플랫폼, 분쟁 대응 자율규제 134건 적발 방안 내놨다
중고거래 플랫폼이 분쟁 대응을 위한 체계적 자율규제 방안을 내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간거래(C2C) 플랫폼 분쟁예방 업무협약'의 일환이다.
김영식 의원실(국민의힘)에 따르면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는 업무 협약 후 개별적으로 개인 간 분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134건 적발 모색했다.
당근마켓은 소비자 단체와 맞춤형 분쟁조정 기준을 설정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작할 예정이다. 분쟁 양상에 따라 맞춤형 조정 및 제재 기준을 가이드라인으로 만들어서 귀책이 누구에게 있는지 안내한다. 이용자 분쟁 조정 신청 절차의 편의성도 높인다. 이용자가 알림 등 고지를 놓치지 않도록 사용자환경(UI)을 개편한다. 분쟁조정팀을 확충해 분쟁조정 기술 결합을 강화한다. 귀책 사유가 명확한 이용자가 탈퇴하는 경우 당근마켓은 전화번호를 바꿔서 재가입하더라도 기기정보나 기존 거래 정보 등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특정해서 제재한다. 분쟁과 사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유해성 게시글은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통해 차단한다.
번개장터는 분쟁 대응을 위한 134건 적발 민원 부서 강화와 분쟁 해결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활용한다. 고객센터에는 현재 60여명이 민원을 처리하고 있으며, 사기 모니터링은 24시간 운영되고 있다. 향후 대외협력팀 분쟁조정 전문 인력 2명을 추가 채용할 예정이다. 이들은 전자거래 분쟁조정위원회 전후에 합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분쟁 발생 소지가 있는 단어 사용은 차단할 방침이며, 분쟁 발생 시 비매너 및 비협조에 대한 제재 정책도 운영한다. 1차 제재를 받으면 3일, 2차는 15일, 3차는 30일 계정을 차단한다. 영구 차단되면 재가입이 제한된다.
중고나라는 4월부터 반복적 상품 등록이 이뤄지는 ID의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안전한 중고물품 거래가 가능한 업체는 '파트너 제도'를 통해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가전, 골프 등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모니터링 전담부서 '중고나라 클린센터'를 꾸려서 부서를 정비할 예정이며, 안전결제 정책 개편과 AI 기술을 도입해 안전 거래 실효성을 향상한다.
자율규제 업무협약 후 분쟁 발생 건수는 감소했다. 협약 이전인 2022년 2월 19일~3월 19일 1개월 동안 분쟁 발생 건수는 협약 후 1개월 동안 당근마켓 163건→93건, 번개장터 86건→63건, 중고나라 75건→71건으로 각각 줄었다.
중고거래 플랫폼 자율규제 가이드라인 마련은 윤석열 134건 적발 정부가 강조한 자율규제의 실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으나 계류 중이다. 중고거래 플랫폼이 마련한 방안으로 C2C 플랫폼 분쟁 감소 효과가 있다면 자율규제가 향후 자리매김할 수 있다.
자율규제가 활성화된다면 소비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과도하거나 시대착오적 규제로 인한 기업 위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
김현경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플랫폼 업계는 빠르게 변화하는데 이 같은 변화를 공적 규제가 따라가기 어렵다”면서 “기업마다 필요한 기준을 134건 적발 만들고 융통성 있게 규제를 설정해야 이용자 보호 효율성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