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1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간단히 말해서, 이더리움은 개발자들이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클래식 - Ethereum Classic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 관점을 공유하고 ,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 하지만 ,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 존중하기. 부정적인 의견도 긍정적이고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표준어 사용 :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비방,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 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 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

Ethereum Classic 토론

전문 및 기관투자자의 입장을 공개하고 몇달째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찾았습니다. Google 'Market Mivacle Advisor'를 검색해 보세요. 모니터링되는 각 회사에 대해 대규모 투자자의 순포지션 차트가 게시됩니다.

스마트폰 무료채굴이 가능한 전세계3000만유저.제2의 비트코인 파이코인! 미국 대기업들 친환경 파이코인을 도입계획중! 앱스토어,구글스토어에서“파이”다운로드후 추천코드(붙여서)OH JAE HWAN입력시1코인 증정,함께 채굴하면 속도가 빨라집니다.2009년 비트코인을 매일 50코인 무료채굴할수 있었습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치가 없다고 느꼈습니다.지금 비트코인(Bitcoin)은? 2011년에 라이트코인이 선보였고, 매일 10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것이 여전히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더리움은 2015년에 개발되었고, 매일 3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그것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어쨌든 파이코인은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채굴하고, 하지 않고는 개인의 선택입니다.아무런 비용없이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너무도 크기 때문입니다.부디 현명한 선택을 바랍니다.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의 차이점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이더리움 클래식 프로토콜은 거의 같은 채굴 알고리즘에서 작동하며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렇지만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투자 자금의 손실을 메우기 위해 일련의 거래를 롤백한 반면 이더리움 클래식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 큰 차이입니다. 또 다른 주요 차이점은 이더리움 클래식이 하위 버전과 호환되는 프로토콜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어떠한 업데이트도 그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내년에 이더리움이 PoS(지분 증명) 프로토콜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는 범위까지 확장됩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네트워크에서 dApp 또는 DAO를 구축할 수 있는 탈중앙화 스마트 계약 프로토콜입니다. 기본 계층 프로토콜 역할을 하는 이더리움 클래식은 DeFi 및 NFT 개발에 유용합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인기 있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포크이며 최초의 스마트 계약 네트워크의 변함없는 역사적 기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분열은 2016년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이념적 및 기술적 차이와 DAO 해킹으로 인해 7천만 달러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 것에 기인합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의 초기 빌드를 보면 이더리움과 매우 유사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작업 증명(PoW) 합의 알고리즘에 의존하여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을 채굴하려면 GPU 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회로(ASIC) 마이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ETC는 GPU 채굴기를 ASIC 채굴기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더해시 채굴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다른 옵션은 특히 채굴기를 설치하고 유지할 기술 전문성이 부족한 경우 이더리움 클래식 채굴 풀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계산 능력을 다른 풀 마이너와 결합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많은 서비스가 이 옵션을 제공하므로 시작하기 전에 일부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 암호화폐 자산과 마찬가지로 이더리움 클래식은 주로 디지털 지갑에 저장됩니다. 사용자는 이더리움 클래식과 기타 마음에 드는 가상 자산을 저장할 개인 지갑을 소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거래소 및 브로커들이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 키를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이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여러 상위 비트코인 거래소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기 있는 거래 선택지는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FTX, Huobi Global, Kraken입니다. 한편, 많은 암호화폐 브로커들도 이더리움 클래식을 지원합니다. 인기 있는 선택지는 소셜 트레이딩 리더인 이토로이며 여기서는 이더리움 클래식을 비롯한 여러 상위 가상화폐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기 있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이더리움 클래식은 많은 암호화폐 거래소나 이를 지원하는 브로커를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한 개의 계좌를 만들고, 예금하고, ETC를 구매하기만 하면 됩니다. 예금과 관련하여 필요한 양의 ETC가 포트폴리오에 추가되어 최초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최초 보유자 중 한 명이 될 것입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처럼 활용 사례가 다양합니다. 티커 ETC로 표시된 이더리움 클래식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과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구축에 사용되는 스마트 계약을 지원합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최신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즉, 탈중앙화 금융(DeFi) 및 대체 불가 토큰(NFT)과 같은 하위 섹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ETC 사용자들도 이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가스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스마트 계약 프로토콜 이더리움이 출시된 지 1년이 지난 2016년에 생성되었습니다. 이번 분할은 이더리움 개발팀이 DAO로 손실된 7천만 달러를 회수하기 위해 일련의 거래를 롤백하려고 했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이더리움 클래식파가 '강령이 곧 법' 원칙을 고수하는 등 팀 간 이해관계가 갈렸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2016년 이더리움 개발 커뮤니티 내에서 팀의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해킹 처리를 둘러싼 분열이 이어지면서 만들어졌습니다. 인기 있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투자자 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이러한 거래를 취소하는 방법을 택했고 다른 기업들은 이것이 향후 몇 년 동안 표준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반대했습니다. '강령이 곧 법'이라는 원칙을 고수하며 최초의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의 역사를 보존하기 위해 이더리움 클래식 프로토콜을 만들었습니다.

ETH/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ETH BRL (이더리움 vs.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정보를 모두 확인해보세요. 과거 데이터, 차트, 기술적 분석, 등 이 페이지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투표하신 후 사용자들의 결과를 확인하세요!

기술 요약

캔들스틱 패턴

Advance Block Bearish5H Doji Star Bearish5H Three Outside Up30 Abandoned Baby Bullish30 Doji Star Bullish1D

ETH/BRL 시세

더 많은 통화 찾아보기

ETH/BRL 토론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이더리움 브로커간의 비교

편집자 주: 본 포스트는 2부로 구성된 시리즈의 파트 1입니다. 파트 1에서 다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파트 2에서 소개됩니다.

3 월 12일, 암호화폐 시장에서 약 13시간 간격으로 크게 두 번의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하락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 시간으로 아침 일찍, 두 번째는 저녁이었습니다. 첫 번째 하락(25%까지 하락)은 빠르게 일어났고, 규모 대비 상대적으로 질서정연한 하락이었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가파른 하락은 시장 구조를 무너뜨렸습니다. 이러한 구조 붕괴로 인해 비트코인은 몇 분 간 4,000달러 이하로 추락하여 7년 만에 하루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 시장 구조가 온전했더라면, BTC가 4,000달러 이하로 떨어지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본 에세이의 파트 1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룰 것입니다.

  1.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2. 왜 이러한 사태가 일어났는지

추후 업로드 예정인 파트 2에서는 이하 내용을 다룰 것입니다.

  1. 근본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잠재적인 해결방안
  2. 왜 이러한 폭락이 단기적으로는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인지
  3. 왜 이러한 폭락이 중기적으로는 다시 일어날 수 있는지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현 상태로는 글로벌 규모로 운영될 수 없습니다. 위기 상황이 닥치면 이 네트워크들은 매우 혼잡해지면서 차익거래자들의 입장에서 다양한 거래소의 가격을 통제할 수 없어집니다. 이로 인해 특정 개별 거래소에서 대규모 이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개별 거래소(비트멕스)에서의 대규모 이탈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15~30분간 4,000달러 이하로 떨어졌는데, 이는 시장이 제대로 작동했더라면 일어나지 않았을 현상입니다.

암호자산 시장 구조

왜 시장 붕괴가 일어났는지 이해하려면 현재 암호자산 시장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암호자산 시장 구조는 대부분의 자산에 대한 거래가 단일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주식 시장의 구조와는 확연히 다릅니다. 암호자산 시장과 더 유사한 시장은 외환시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암호자산 시장 구조의 고유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 채널이 매우 다양합니다. 주요 거래소로는 비트멕스, 바이낸스, 후오비, OKEx, FTX, 데리빗, 코인베이스, 비트파이넥스, LMAX, 크라켄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바이비트, 비트멕스, 비트포렉스, 잇빗, 비트스탬프 같은 중소형 거래소(이들 중 상당수에서 3월 12일 10억 달러 이상이 거래됨)도 상당합니다. 또한, 거래소 외에도 메이커다오, 컴파운드, Lendf.me, Synthetix, 유니스왑, IDEX, dYdX 등으로 이루어진 디파이 생태계도 존재합니다.

파생상품 거래소는 ‘perps’라고도 알려진 무기한 계약(perpetual swap contracts)을 통해 최대 125배의 레버리지를 제공합니다. 이렇게 큰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참여자들은 소수이며, 대부분 10~5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합니다. 레버리지가 시스템에 입출력되는 속도는 매우 빠르며, 청산 역시 기타 자산 시장에 비해 자주 일어납니다.

거래소마다 시장 메커니즘이 상이합니다. 거래소들은 각기 다른 상품(현물, 선물, 무기한 계약, 옵션)을 제공하며, 각 상품에 대해 허용하는 담보도 천차만별입니다. 뿐만 아니라, 청산 방식 및 유동성 측정법, 그리고 개별상품에 대한 유동성 역시 거래소마다 매우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1) 바이낸스는 독보적인 현물거래 거래소이자 파생상품 상위 5개 거래소 중 하나이면서, 수십 개의 자산에 대한 무기한 계약을 제공합니다. 또한, 바이낸스는 BTC 선물 및 무기한 계약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담보를 인정하지만, ETH에 대해서는 USDT만 인정합니다. 2) 비트멕스는 선물과 무기한 계약을 통해 8가지 자산을 거래하지만, BTC만 담보로 인정합니다. 3) FTX는 가장 다양한 상품군(현물, 선물, 무기한 계약, 옵션)과 담보 옵션을 제공합니다. 4) 데리빗은 옵션 트레이딩 부문에서 독보적인 위치이며, 선물과 무기한 계약 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트레이더들은 거래소간 교차마진 거래를 할 수 없으며, 아직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만큼 충분한 자본을 가진 프라임 브로커가 없기도 합니다. 이는 역으로 자본의 효율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생태계 전반이 지불하는 자본비용을 증가시킵니다. 또, 대다수 거래소가 아직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을 상계시키지 못하는 것 역시 해당 문제를 심화시킵니다.

몇몇 시장 참여자들은 자산의 가치를 계산함에 있어서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트레이딩이나 리스크에 대해 다른 관점으로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은 자산을 USD를 기준으로 계산하지만, BTC 혹은 ETH 기준으로 계산하는 이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전통적인 금융시장에서, 대부분의 유동 자산(예: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대부분의 주식)은 담보로 인정됩니다. 그러나 암호자산 시장에서는 대부분 USD, BTC, ETH만이 담보로 인정됩니다. 이로 인해 대출자들이 상환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지션 청산 없이는 담보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는 베이시스 위험(basis risk -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차이인 베이시스가 이론적으로 예상되었던 변동폭과 다르게 변동하여 초래되는 리스크)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용자가 자금이나 자산을 예치할 때 거래소에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거래소별 또는 자산별 적용되는 정책은 상이하지만, 자금 예치 내역을 포함한 거래가 담긴 한 블록이 컨펌되기까지는 평균 10분 정도가 소요되며, 한 시간 가량이 걸리기도 합니다. 3월12일처럼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많아지면, 트레이더의 거래내역을 담은 블록 자체가 순서에서 밀려 기존보다 더 오랜 시간 블록에 담기는 순서를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가격 예시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파이 프로토콜이 아닌 중앙화된 암호자산 거래소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디파이 내 반영되는 가격은 중앙화 거래소의 가격을 시차를 두고 따라갑니다. 차익거래자들은 이러한 거래소와 프로토콜 간 틈을 잘 활용하여 상당한 이익을 창출합니다.

대부분의 트레이더들은 하나 또는 소수의 거래소만을 이용합니다. 예를 들어: 1) 일부 미국 기반의 펀드는 코인베이스, 크라켄, CME, 백트에서만 거래하며 2) 대부분의 중국 개인투자자들은 주로 후오비에서 거래합니다. 3) KYC를 꺼려하는 이들은 비트멕스에서만 거래합니다. 4) 대다수의 트레이더들은 수준이 높지 않을뿐더러, 다수의 거래소를 활용하여 유동성을 확보하고 이득을 많이 보려는 노력을 하지 않기도 합니다.

상기 모든 특징을 고려할 때 거래 채널 간 가격이 왜 상이한지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매매수수료와 가격 간 차이가 크게 나지 않으며, 스프레드 상으로는 보통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몇 bp 정도 수준에 불과합니다. 가격 차이가 크게 나게 되더라도, 유동성 공급자들과 차익거래자들이 이를 이용해 주요 거래소에서 차익 거래를 집행하여 이익을 얻고 스프레드 격차를 줄일 정도의 충분한 자본을 가지고 있지요.

그러나 변동성이 높아지면 몇 가지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합니다. 1. 청산이 가속화됩니다. 일부 트레이더는 최대 125배의 레버리지를 활용하지만, 대부분이 활용하는 거래소 레버리지는 25~30배입니다. 25배 레버리지인 상황을 감안 시, 최대 3% 수준의 가격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 포지션이 청산됩니다. 이는 거래소가 청산이 일어나는 중 잠재적인 하락을 대비하는 버퍼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청산을 피하려면, 거래자는 더 많은 담보물을 제공해야 합니다. 2. 담보물 한도액에 대한 기준이 거래소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청산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면서 가격 역시 거래소별로 달라지게 됩니다. 3. 차익 거래자들은 본인들이 이용하는 여러 거래소에서 생기는 가격차이에 일일히 대응할만한 충분한 자본이 없기 때문에 보유한 자산(주로 BTC, ETH, USDT가 해당되며, 종종 USDC도 포함됩니다)을 이동시켜 거래소 간 가격 차이에서 발생하는 이윤을 얻고자 합니다.

여러 자산을 한 번에 이동시키려는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비트코인 블록에 담기려는 수요와 이더리움 가스에 대한 수요가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가스 가격이 급등하고, 대다수의 거래내역이 적게는 몇 분 그리고 길게는 몇 시간 가량 블록에 담기지 않게 됩니다.

가격이 하락하면서 이런 사태가 벌어지면 채굴자들은 지불하는 전기비보다 채굴 수익이 적은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채굴자들이 채굴기를 끄기 시작하면서 상황은 악화가 됩니다. 작동하는 채굴기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신규 블록 생성이 지연되고 발생하면 채굴 수익(암호화폐로 표시)이 전기 비용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채굴자들이 기계를 끄기 시작합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블록 생성 속도가 느려지면서 지연시간이 증가하고 총 처리량이 줄어드니까요.

3 월 12 일에 무슨 일이 일어난걸까

암호자산 시장의 첫 하락은 글로벌 주식시장의 매도세가 거세게 지속되면서 리스크 조절을 하려는 투자자들이 주요 원인이라 예상됩니다. 이어서 발생한 두 번째 하락은 담보물을 청산하려는 대출을 해준 이들이 시발점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서 청산되는 담보물은 첫 번째 하락으로 인해 상환능력을 잃은 이들이 맡긴 것이었죠. 최초 대하락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일부 채굴자들이 채굴기의 작동을 멈추긴 했지만, 대부분은 두 번째 하락 때 채굴기 작동을 멈췄습니다.

그러자 시장 구조 붕괴가 일어났습니다.

비트멕스는 BTC만을 담보물로 인정합니다. 이로 인해 비트멕스 내 모든 BTC-perp 롱 상품은 레버리지를 이용해야만 한다는 조건이 붙게되죠.예를 들어, 어떤 트레이더가 비트멕스에서 BTC-USD 페어에 대해 롱 포지션을 잡았다고 가정해봅시다. BTC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트레이더는 해당 거래에 대한 손실을 보면서 동시에 BTC 담보 가치 하락 역시 떠안게 됩니다. 이는 비트멕스 내 유동성 제공자에게 리스크를 안기게 됩니다. 시장이 하루에 30% 이상의 등락폭을 보이게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레버리지를 이용하지 않은 트레이더들조차도 청산을 당하게 됩니다. 마켓메이커(MM)들은 이 생리를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유동성 공급량을 줄이게 됩니다. 하락장에서 이는 떨어지는 속도의 가속화를 불러일으킵니다.

담보 청산으로 인한 현물 가격 하락이 일어남에 따라 파생상품 가격 역시 하락했습니다. 이에 비트멕스는 레버리지된 롱 포지션들에 대한 청산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청산은 가격하락과 함께 계속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하락의 규모는 마켓메이커들로 하여금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유동성 공급을 아예 멈추게끔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비트멕스와 코인베이스 거래소들 간 스프레드가 때로는 500 달러 이상 벌어지기도 했죠. 이런 상황이다보니 유동성 공급자들은 비트멕스에서 벌어지는 연쇄 청산을 막기 위한 롱 포지션을 취하는 것을 피해버렸습니다.

Bitmex Cumulative Long Liquidation Value

설상가상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 역시 혼란 그 자체였죠. 채굴자들이 채굴기의 전원을 내려버리면서 블록 생성이 느려진 것이 상황을 한층 더 악화시켰습니다. 거래소간 가격 차이가 커지는 것을 알면서도 차익거래자들이 비트멕스로 BTC를 예치하는 것이 불가해진 것이었죠.

특정 시점에는 전체 비트멕스 장부에 주문액은 2천만 달러만이 남아있는데, 청산할 롱 포지션이 2억 달러 이상 남아있기도 했습니다. 만약 비트멕스 측에서 ‘유지보수’를 하지 않았다면 BTC 가격이 잠깐이라도 0에 수렴하게 추락할 수 있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암호자산 시장 내 비트멕스가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했을 때, 이렇게 충격적인 가격 변동이 일어났다면 기타 모든 BTC를 거래하는 플랫폼 모두 그 충격파를 벗어나지 못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디파이의 실패

차익거래인들이 비트멕스에 자본을 예치하지 못하는 상황과 비트멕스의 미흡한 대처로 인해 비트멕스 플랫폼이 붕괴하는 동안 디파이 생태계 역시 처절한 실패를 맛보았습니다.

메이커다오는 디파이 프로토콜의 대표주자이며, 나머지 디파이 플레이어들의 대부분은 이 메이커다오를 기반으로 구축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 메이커다오가 사실 3월 12일 완전히 붕괴될 뻔했고, 일련의 사태가 실제로 일어났다면 붕괴될 수도 있었습니다. 실제 메이커다오는 두 번의 뼈아픈 실패를 겪었는데, 대중은 이 중 한 건에 대해서만 인지하는 것 같습니다. 우선 첫 번째 하락이

첫 번째 하락으로 인해, 일부 메이커의 볼트(이전에는 부채담보부포지션인 CDP로 불림)의 담보물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메이커 팀이 만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Keeper를 운영하는 이들이 담보물 가치가 하락한 볼트를 청산하려는 시도를 했죠. 하지만 Keeper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 혼잡도에 대응하여 가스 가격에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았기에, 채굴자들은 Keeper 측의 청산 거래를 블록에 담지 않게되었죠. 즉, 가스비를 맞추지 못해 블록에 담기지 못한 것입니다.

결국 메이커다오 프로토콜에서는 그 누구도 담보 경매에 입찰하지 않았죠.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자 어떤 이는 가스 가격을 올리기만해도 유일한 경매 참여자가 될 수 있고 운이 좋다면 0달러만으로도 입찰할 수 있음을 알아챘습니다. 실제로 8백만 달러 규모의 이더리움 담보물을 0달러 입찰로 취득하는 일이 일어나고 말았죠.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렇게 프로토콜의 허점을 노린 입찰로 인해 담보물이 사라진 볼트 소유주들은 이 상황에 법적 조치를 취할 그 어떠한 방책도 없었죠.

또한, Keeper는 담보 풀에 다시 기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메이커 시스템은 초과 담보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자본은 부족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즉, 메이커 프로토콜 내에 모든 미결제 DAI를 상환할 ETH와 BAT 담보가 충분했음에도 불구하고, 설정된 리스크 목표에 미달했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메이커다오의 두 번째 실패가 수반하는 더 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공개적인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Keeper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메이커의 오라클을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 역시 고도로 혼잡한 네트워크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다수의 오라클은 메이커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가격을 보내는 행위를 멈춰버렸습니다.

MKR 보유자는 시스템의 리스크 파라미터에 대해서 투표하고, 오라클은 가격을 보고함으로써 리스크 파라미터 상 설정된 규칙을 실행합니다. 그러나 가격을 정확히 보고하지 못하면서 오라클은 MKR 보유자들이 과도한 리스크를 감수하도록 만들었습니다.

12일, 미 중부 표준시 7시 경, ETH 가격이 88달러까지 하락하였습니다. 많은 볼트들이 100달러 가량에서 청산되도록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수많은 청산이 실제로 실행되었죠. 트레이더들은 100달러라는 숫자가 다른 투자자들의 강력한 심리적 지지를 유도한다는 근거로 볼트의 청산 기준을 의도적으로 100달러로 설정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메이커의 오라클은 ETH-USD 가격이 100달러 이하로 떨어졌는데도 ETH-USD 가격에 대해 업데이트하지 않았습니다.

오라클들이 단순히 가스 수수료를 올리지 않았는지 아니면 시스템을 살려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가격을 업데이트하지 않았는지 여부는 사실 불투명합니다. 그러나 만약 오라클이 가격을 정확하게 보고했다면 100달러로 설정되어있던 모든 볼트들은 청산되었을 것이며, 이로 인해 ETH 가격은 더 큰 폭으로 하락했을 것입니다. ETH가 100달러 이하로 떨어지자, 많은 마켓메이커들은 시장이 잘못 돌아가고 있다며 유동성 공급을 중단했습니다. 수백만 달러 어치의 매도가 집행되었다면 ETH는 50달러 이하로 떨어질 수도 있었던 것입니다.

더 무서운 사실은 상황이 훨씬 악화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1. 메이커가 상환불능 상태가 되어 DAI가 페깅된 가격 이하로 하락할 수 있었습니다.
  2. DAI가 컴파운드나 Lendf.me 같은 타 프로토콜의 대출 담보물로 사용되는데, DAI 가격이 하락하면 이 프로토콜을 통해 대출을 한 이들의 담보가 청산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3. DAI 외에도 수많은 ERC-20 토큰들이 컴파운드나 Lendf.me 같은 프로토콜에서 담보물로 쓰이고 있는데요. ERC-20 토큰들은 보통 ETH 가격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ETH 가격이 하락하면 동반으로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가격하락은 타 대출 프로토콜에서의 더 많은 청산을 야기하여 디파이 전체로 그 여파가 퍼져나갔을 것입니다.
  4. MKR 가격은 향후 MKR 경매로 시스템을 다시 재생할 수 없을 수준으로 떨어졌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날 디파이 시장의 전체 파이는 중앙화된 암호자산 시장 대비 1% 수준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암호자산 시장은 전체 금융시장에서 개미손톱만한 규모이구요. 그런데 만약 3월 12일 벌어진 사태가 디파이 상에 더 많은 자본, 사람, 거래가 포함된 상태였다면 얼마나 큰 재앙이었을지 정말 끔찍합니다.

자사가 Crypto Mega Theses를 통해 밝혔던 디파이가 가진 잠재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그 믿음은 굳건합니다. 다만, 디파이가 가야할 길은 너무나도 멉니다. 3월 12일은 디파이 생태계가 여전히 얼마나 초기에 있는지에 대해 냉정하게 알려주었습니다. 동시에 우리가 이 초기 시장에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 보여주기도 하죠.

결론

이번 가격 폭락 사태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암호자산 시장 인프라가 아직 많이 미숙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러 측면에서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점은 동시에 투자 기회 역시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비트멕스와 같은 거래소들이 어려움을 겪은 것은 명백하지만, 이들은 적어도 수많은 기술적 문제 중 이번 사태를 거쳐 청산 엔진 개선을 이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하락장에서 비트멕스가 온전하게 운영되었다고 하더라도 암호자산 시장은 아마 유사한 문제점을 겪었을 것입니다. 현재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상태는 글로벌 차원의 자본시장 활동을 지원하기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본 에세이의 2부에서는 잠재적인 해결책에 대해서 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고지사항: 멀티코인 캐피털은 BTC, ETH, DAI, USDT 및 USDC를 보유합니다.

이더리움이란 무엇인가?

이더리움(Ethereum)은 간단히 설명하면 오픈소스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함께 가장 규모가 크고 인기 있는 두 가지 암호화폐 중 하나입니다.

이더리움 공식 웹사이트에는 다운타임, 검열, 사기 또는 제3자의 간섭 가능성 없이 프로그래밍된 그대로 정확하게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분산 플랫폼으로서의 이더리움에 대한 간단하고 직접적인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개요

블록체인(blockchain) 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록의 목록으로 간단히 블록이라고만 합니다.

이전 블록과 연결된 각 블록에는 일반적으로 머클트리(Merkle tree)로 표시되는 타임스탬프 및 관련 트랜잭션 데이터와 함께 암호화 해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블록체인이 모든 데이터 수정에 대해서 내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블록체인은 일반적으로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 의해 관리되며, P2P는 새로운 블록의 검증 외에도 노드 간 통신과 관련된 프로토콜을 일괄적으로 준수합니다.

블록체인은 나카모토 사토시(Satoshi Nakamoto)라는 이름을 사용하던 개인 또는 개인의 그룹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블록체인 및 비트코인의 발명으로 비트코인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나 중앙 서버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이중 지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한 최초의 화폐가 되었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마지막으로 사이드체인 등 다양한 유형의 블록체인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외에 블록체인의 다른 용도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역사

모든 것은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비트코인과는 달리 이더리움은 이와 관련된 실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테린은 러시아계 캐나다인 프로그래머이자 작가로, 이더리움에 대해 그가 한 작업으로 유명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2011년 비트코인에 대한 관여가 두드러진 비트코인 매거진(Bitcoin Magazine)의 공동창업자이기도 합니다. 비록 부테린이 Bitcoinjs-lib와 이고라(Egora) 의 포크 개발 등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더리움은 부테린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유명세를 얻게 한 원동력이었습니다.

부테린은 19살 때 티엘 펠로우십(Thiel Fellowship)을 받고 나서 이더리움의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고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그는 2013년 비트코인을 작업하면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스크립팅 언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절호의 기회라고 주장하였지만 처음에 부테린은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폭넓은 지지를 얻지 못했고, 그로 인해 자신만의 이더리움 백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비전은 ‘계약’을 생성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완전한 내장형 튜링 완전(Turing-complete)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부테린이 언급하던 계약들은 이더리움이 유명해진 것과 같은 ‘스마트 계약’입니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은 단순히 스스로 실행되어 코드로 작성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계약이라고 할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트랜잭션이 투명하고 되돌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추적이 가능합니다.

2014년 1월 마이애미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서 이더리움이 발표되었습니다. 부테린은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상당한 반발을 예상했지만, 그의 아이디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여 프로젝트의 추진력을 모았습니다.

이더리움의 성장

2014년 중반, 이더리움의 추가 개발을 안내하기 위해 비영리 재단인 이더리움 재단이 설립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IPO와 비슷하지만, 암호화폐를 겨냥한 첫 번째 초기 코인 공개(initial coin offering) 또는 ICO라고도 합니다.

이더리움은 이더(ether)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ETH라는 자체 고유 토큰을 받았습니다. ETH는 이후 이더리움과 관련된 생태계의 모든 것을 지배하는 디지털 통화입니다.

ICO 기간 동안 ETH의 최초 할당은 공개 프리세일(presale)을 통해 배포되었으며 약 50,102,216 ETH의 대가로 약 31,591개의 비트코인 또는 BTC가 생성되었습니다.

2014년 하반기에는 이더리움과 관련된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더 많은 노드가 온라인으로 전환됨에 따라 ETH가 구축되기 시작하는 버즈 지연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는 사이 몇 년 동안, 만들어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해 이더리움의 핵심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많은 개발자들이 있었습니다.

2018년까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분산화 애플리케이션의 비영리 큐레이티드 디렉토리인 디앱(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또는 댑의 상태는 이더리움에서 이미 950개의 프로젝트가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이러한 추세가 가까운 미래에도 지속될 것임을 시사하는 다양한 ICO, 즉 기금 모금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이더리움이 이룬 진보와 관련해서 몇 가지 장애물이 있습니다.

다오 해킹

다오는 전체 이더리움 프로젝트의 종료를 위협하는 사건이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이더리움 역사의 중요한 한 부분입니다.

다오(Distentralized Autonomy Organization, DAO)는 블록체인에 위치한 스마트 계약으로 인코딩된 규칙에 따라 실행되는 엔티티입니다.

크리스토프 젠츠치(Christoph Jentzsch)는 분산형 벤처 펀드를 만들고 다양한 개발 프로젝트에 벤처 자본을 뿌릴 목적으로 만들어진 복잡한 스마트 계약인 다오의 설립자입니다.

다오 코드의 목적은 인간을 신뢰하는 데 존재하는 요구를 없애고, 대신 자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지만, 인간을 그러한 방정식에서 제거하는 것은 훨씬 어렵습니다. 즉 말하기는 쉽지만 행동하기는 훨씬 더 어렵습니다.

다오의 방법론은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개발 방향에 영향을 미치려면 ETH를 사용하여 다오 토큰을 구입해야 합니다.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인은 제안 제공과 관련된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후에 투표로 결정됩니다. 진행하기 위해서는 개인 또는 제안이 모든 다오 보유자로부터 투표의 20%를 획득해야 했습니다.

더 많은 자금이 다오에 투입될수록, 다오 투표 테이블에 앉은 사람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상당한 흥분을 불러일으켰고 수많은 투자자들이 토큰을 사기 위해 달려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반 대중 판매에 1억 5천만 달러 이상의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 직후, 다오는 사이버 공격을 받았습니다.

이 사건이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한 수많은 추측, 소문, 이론이 존재하지만,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자세하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실질적인 증거는 전혀 없었습니다. 그러나 2016년에는 다오의 허점이 일부 개인에 의해 악용되었습니다.

이 허점은 스마트 계약 코드에 나타난 취약점으로 다오에 보유되어 있던 자금의 3분의 1이 회수되어 $50,000의 손실을 입었습니다.

이 중대한 사건은 사건 발생 당시 아직 상당히 젊었던 이더리움 기술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습니다. 그 결과, 이더리움 커뮤니티는 발생했던 공격을 지울 수 있는 해결책을 고안했습니다.

하드포크, 소프트포크, 이더리움 클래식

‘하드포크(Hard Fork)’는 프로토콜의 급격한 변경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용어이며, 결과적으로 이전에 유효하지 않은 블록 또는 트랜잭션을 유효한 블록으로 렌더링합니다. 이 프로세스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며 모든 노드 및/또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했습니다.

블록체인의 포크 및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간단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하드포크는 네트워크의 현재 버전과 충돌하는 예정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입니다.
  • 소프트 포크는 네트워크의 현재 버전과 충돌하지 않는 예정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입니다.

다오 해킹으로 인해 하드포크를 야기했고, 그 결과 이더리움 커뮤니티가 기록을 롤백하기로 결정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기록은 공격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절대 보여주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모두가 동의하지 않은 중요한 변화였습니다.

제안과 관련된 논란으로 인해, 두 개의 서로 다른 이더리움 브랜치를 생산하는 실질적인 분할이 있었습니다. 이 두 브랜치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원래 네트워크의 완전히 다른 버전입니다.

현재 알려진 바와 같이, 이더리움은 대다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버전이며, 심지어 창립자인 부테린도 변경된 거래 내역을 채택하기로 선택하였습니다. 반면, 다른 사용자인 이더리움 클래식은(Ethereum Classic)은 이 아이디어를 지지하지 않은 소수입니다.

비록 이더리움 클래식이 이더리움과 같은 높이에 도달한 적은 없지만, 통화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더리움 채굴 설명

한 개인이 다른 개인에게 이더를 보내고 싶어하거나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즉시, 분산원장은 이벤트를 기록하고 이를 둘러싼 정확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사람이나 회사가 수행하는 대신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 세계 수천 대의 컴퓨터에서 수행되므로 실행과 관련된 완전한 투명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사용되는 컴퓨터를 ‘채굴자(miners)’라고 부르지만, ‘채굴자’라는 용어는 종종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용어는 ‘트랜잭션 프로세서(transaction processors)’일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이 안전하고 적절하게 기록되도록 하는 컴퓨터는 상당한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므로 복잡한 알고리즘이 단시간에 해결되어 ETH에서 지급되는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작업증명(Proof-of-Work) 또는 일반적으로 PoW라고 알려진 이 프로세스를 통해 전체적으로 네트워크의 무결성과 생명력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oW와 관련된 몇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단점 중 하나는 공정의 경쟁이 매우 치열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채굴장이 더 많이 생겨나기 시작한 이유와 더불어 사람들이 감당할 수 없는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탈중앙화 특성에 반하는 결과입니다.

2017년에 부테린이 PoW에서 벗어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이더리움이 작업증명에서 작업증명과 지분증명(Proof-of-Stake, PoS)을 결합한 보다 하이브리드적인 솔루션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캐스퍼(Casper)라는 제안을 했습니다.

부테린은 또한 이번 발표에서 PoS 프로토콜이 커뮤니티에서 수많은 다른 이름으로 알려진 ‘검증자(validators)’의 노력을 활용하여 트랜잭션을 검증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검증자들은 특수 지갑에 동전을 넣어두는 컴퓨터 개인들입니다. 이러한 컴퓨터나 개인은 PoS 프로토콜을 통해 시스템에 자금을 투입하는 동시에 규칙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보증금을 몰수당할 것임을 인식합니다.

PoS는 PoW와 달리 거래를 검증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복잡한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하는 채굴자에게 알고리즘을 지불하는 알고리즘 대신 검증자가 체인에 추가될 것으로 생각하는 블록에 베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신 검증자는 체인에 추가된 블록에 정확하게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베팅할 경우 베팅에 비례하여 보상을 받거나 ‘지분(stake)’를 받습니다.

부테린 또는 캐스퍼가 제안한 목적과 결과는 비트코인 채굴과 유사한 PoW를 의도했고, 실험적인 PoS 시스템이 추가되어 많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이더리움이 둘 사이에서 진동하고 이후에 이더리움 네트워크 전체에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PoS에 완전히 의존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처럼, 이 제안에 대해서는 지지자와 반대자가 모두 있습니다. 캐스퍼를 지지했던 사람들은 이러한 변화가 보다 친환경적인 프로토콜을 만들어내기를 희망했습니다.

반면, 반대론자들은 제안서 발표가 여러 차례 지연되었고 이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PoS가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증거로 작용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보안과 관련하여 더 시급한 문제에 대해 우려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개발자들은 PoS가 PoW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고 확신했습니다.

자세한 이더리움의 실제 작동 방식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모든 트랜잭션을 실시간으로 나열하는 공개 장부 역할을 하며 이러한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요소입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모두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블록체인 기술이 있습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거래가 진행되면 전체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되는 사본이 있기 때문에 비트코인과 유사합니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컴퓨터는 이 트랜잭션 기록의 사본을 공유합니다.

거래자가 어디에 있든 인터넷이 있는 한 분산 디지털 원장이 대규모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쉽게 동기화되므로 이더리움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는 트랜잭션과 스마트 계약으로 구성된 수많은 데이터 블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블록은 서로 연결되어 바로 첫 번째 블록까지 이더리움 전체 이력을 다시 나타냅니다.

이러한 블록은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채굴한 후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에게 배포됩니다. 각 블록체인에 적용되는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알고리즘 유형이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네트워크에서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포인트와 관련된 단일 값에 동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귀하는 관심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비트코인 캐시란 무엇인가?

이더리움의 주요 측면

이더리움 가상머신

이더리움 가상머신(Ethereum Virtual Machine, EVM)은 이더리움과 관련된 가장 필수적인 혁신 중 하나입니다.

이더리움이 설립되기 전에는 암호화폐에 귀속되는 기능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비트코인은 오직 디지털 통화로만 작동할 수 있었고 그 이상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개발자들은 비트코인의 기능을 기존 블록체인으로 수준으로 확장하거나 플랫폼 전체를 새롭게 시작해야 하는 갈림길에 서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교착 상태를 EVM에 개입해서 개척을 시작한 부테린이 주목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 업계에서 인기를 끌었던 서비스 거부 공격(Denial-of-service attacks)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EVM은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의 상태에 액세스하지 않도록 보장하여 간섭의 가능성이 전혀 없이 통신이 더욱 확실하게 설정되도록 했습니다.

이더리움을 고려할 때, 네트워크 상에서 프로그램이나 트랜잭션이 실행될 때마다 이를 처리해야 합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수많은 계약이 있으며, 이를 ‘바이트코드(bytecode)’라고 합니다.

이것은 EVM에 의해 해독되고 실행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그것에 연결된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메모리가 있는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습니다.

계약은 이더리움 노드 또는 EVM을 사용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됩니다. EVM의 제공과 개발은 다양한 개발자들이 각각의 블록체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같은 중앙 위치에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스마트 계약

이더리움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이 없고 이에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대해 막 배우기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는 능력이 상당한 힘이라는 것이 명백해집니다.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라는 용어는 컴퓨터 과학자인 닉 사보(Nick Szabo)가 1996년에 최초로 만든 용어입니다. 닉 사보의 다른 가명이 나카모토 사토시(Satoshi Nakamoto)였을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게 돌았습니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당사자 또는 참여자 간에 디지털 통화 또는 자산의 전송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이 따르는 프로토콜은 마치 자동판매기에서 제품을 선택하고, 기계에 돈을 삽입하고, 요청된 제품을 받는 것과 같은 일련의 작업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둘러싼 ‘if-then’ 진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근거는 이더리움이 다른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계약을 통해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다른 암호화폐에는 없는 기능입니다.

이더리움은 ID 시스템, 보험금 지급, 권한 관리 및 기타 수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모든 기능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찾을 수 있는 스마트 계약으로 가능합니다.

이러한 계약은 순수 디지털 환경에서 계약의 목적에 부합합니다. 이더리움은 인간 시스템에 존재하는 중간자를 제거하는 것과 함께 일상 프로세스의 자동화를 촉진하여 인간의 일상을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ERC20 토큰이란 무엇인가?

ERC20(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20)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새로운 토큰을 도입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표준 요구 사항에 대해 부여되는 이름입니다.

2015년 말에 소개된 ERC20은 Ethereum GitHub 전용 페이지에서 공식화되기 전까지 단순한 비공식 지침으로 존재했습니다. ERC20의 존재는 이더리움 기반 토큰이 전체 생태계에서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2018년까지 존재했던 ERC20 토큰 계약 규모에 대해 고려할 때, 그러한 요구 사항을 표준화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컸음이 분명합니다.

이더와 ‘가스’의 공급

이더리움 시스템은 이더 토큰 또는 통화에 의해 실행됩니다. 이것은 이더리움으로 알려진 분산 응용 플랫폼을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연료의 일종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요소입니다. 플랫폼을 사용하는 고객이 요청된 작업을 실행하는 기계에 지불하는 일종의 지불 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에 대한 계산 정도에 따라 연료 비용이 결정됩니다. 모든 것이 ‘가스(gas)’의 비용이 들지만, 다른 것들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드는 것들도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공급 한도가 정해져 있는 반면, 이더리움의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2014년 프리세일 당시의 초기 기부금으로 발행률과 함께 공급량을 결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더리움이란?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What is Ethereum and how does it work?

이더리움이 하는 일이 무엇이며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지 완전히 알려면 그 핵심 속성이 무엇이며, 표준적인 접근 방식과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야 한다.

첫째,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시스템이다. 즉, 이는 어떠한 단일 관리 주체에 의해서도 통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온라인 서비스, 비즈니스 및 기업의 절대 다수는 중앙집중식 관리 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수백 년간 사용되어 온 이러한 접근법에 결함이 있다는 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지만, 당사자간에 신뢰가 없을 경우에는 여전히 이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중앙집중식 접근방식은 단일 주체에 의해 통제될 뿐만 아니라 단일 장애점(SPOF)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앱과 온라인 서버는 해커의 공격은 물론 정전에도 극히 취약해진다. 게다가, 대부분의 소셜 네트워크와 기타 온라인 서버는 사용자가 최소한 어느 정도의 개인 정보는 제공할 것을 요구하며 이러한 정보는 서버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는 회사 자체나 불량한 직원 또는 해커가 손쉽게 훔쳐낼 수 있다.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시스템이므로 완전 자율적이며 어느 누구에 의해서도 통제되지 않는다. 전세계 사용자의 수천 대에 달하는 컴퓨터에 의해 자발적으로 운영되므로 중앙의 장애점도 없으며 결코 꺼지는 일도 없다. 게다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당사자의 컴퓨터에만 유지되며, 앱, 동영상 등의 콘텐츠는 앱스토어나 유튜브와 같은 호스팅 서비스가 강요하는 규칙에 따를 필요 없이 작성자의 완전한 통제 하에 놓여 있다.

둘째,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은 서로 끊임없이 비교되고 있지만, 추구하는 목표가 서로 전혀 다른 완전히 별개의 프로젝트임을 이해해야 한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blockchain)이라는 분산 공유원장(distributed public ledger)에 구축된 사상 최초의 암호화폐이자 송금 시스템이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구현 기술을 취해 그 기능을 크게 확장시켰다. 독자적인 인터넷 브라우저, 코딩 언어 및 결제 시스템까지 갖춘 총체적인 네트워크인 것이다. 가장 중요한 점은, 사용자가 이를 통해 이더리움의 블록체인에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일 수도 있고, 기존 개념을 탈중앙화한 재작업물일 수도 있다. 본질적으로 중개인은 물론 이러한 제 3자의 관여에 따른 모든 비용이 배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페이스북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뮤지션의 포스팅에 '좋아요'나 '공유'를 누름으로써 오는 수익은 이들의 페이지에 게재된 광고에서만 발생하며, 이는 곧바로 페이스북으로 간다. 하지만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의 이더리움 버전에서는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지원에 대해 보상 받는 것은 아티스트와 청중이다. 마찬가지로, 탈중앙화된 버전의 킥스타터(미국의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에서는 회사에 대해 기여한 대가로 어떤 물품을 받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미래에 올리게 될 수익의 일부를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더리움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모든 종류의 매력적인 서비스에 대해 제3자에게 주어지던 모든 종류의 결제가 없어진다.

간단히 말해서, 이더리움은 개발자들이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시스템이다. 즉, 일대일(peer-to-peer) 접근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다. 모든 상호 작용은 여기에 참여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일어나고 이들에 의해서만 지원되며, 어떠한 통제권자도 개입하지 않는다.

이더리움 시스템 전체는 이른바 '노드(node)'로 이루어진 글로벌 시스템의 지원을 받는다. 노드는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전체를 자신의 데스크톱에 다운로드 하여 이 시스템의 모든 합의된 규칙을 완전히 시행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정직성을 유지하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자원 봉사자들이다.

이러한 합의 규칙과 네트워크의 수많은 다른 측면들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의해 좌우된다. 이들은 사용자가 신뢰하지 않는 상대방과도 네트워크 내에서 거래 및 기타 특정한 행위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쌍방이 이행해야 하는 조건은 컨트랙트 내에 사전 프로그램 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거래 또는 그 밖의 모든 특정 행위가 촉발된다. 많은 이들이 스마트 컨트랙트야말로 이 분야의 미래로서, 궁극적으로는 다른 모든 계약 협정을 대체해버릴 것이라고 믿고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이행이 기존의 계약법보다 보안성이 뛰어나며, 계약과 관련된 거래 비용을 절감해주고, 양 당사자 간에 신뢰를 확립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도 제공하는데, 이것은 본질적으로 이더리움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런타임 환경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자가 신뢰하지 않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보안성을 제공하면서도 프로그램들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해준다. EVM은 이더리움의 메인 네트워크에서 완전히 격리되어 있으므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테스트 및 개선을 위한 완벽한 샌드박스 툴이 된다.

이 플랫폼은 또한 '이더(Ether)'라고 하는 암호화폐 토큰도 제공한다.

누가 이더리움을 만들었나?

2013년 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백서에 기술해 몇몇 친구에게 보냈고, 이들은 이 백서를 또 다른 사람들에게 보냈다. 그 결과, 30여 명이 이 개념에 대해 논의하고자 비탈릭에게 연락해왔다. 그가 기다린 것은 비판적 비평이었고 자신의 개념에 중요한 실수가 있다면 지적해주기를 바랐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l

이 프로젝트는 2014년 1월에 공개되었으며, 비탈릭 부테린, 미하이 알리시, 앤서니 디 이오리오, 찰스 호스킨슨, 조 루빈, 개빈 우드가 그 핵심 팀을 구성했다. 부테린은 마이애미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서 이더리움을 소개했고, 불과 몇 달 후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그의 팀은 개발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이 네트워크의 고유 토큰인 이더(Ether)를 크라우드세일(ICO)하기로 결정했다.

이더리움은 암호화폐인가?

정의상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앱스토어로서 뿐만 아니라 탈중앙화 인터넷으로서의 역할도 하려 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연산 자원에 대해 지불할 화폐가 필요하다. '이더'가 등장하는 것은 바로 이 대목이다.

이더는 디지털 무기명 자산으로서, 결제 처리에 제3자가 필요 없다. 하지만 디지털 통화 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내의 탈중앙화 앱을 위한 '연료' 역할도 한다. 사용자가 이더리움 내의 앱 중 하나에서 무언가를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이러한 변경사항을 처리할 수 있도록 거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거래 수수료는 임의의 행위에 필요한 '연료'의 양을 토대로 자동적으로 계산된다. 필요한 연료의 양은 어느 정도의 연산 능력이 필요하며 실행에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인지를 토대로 계산된다. run.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같은가?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은 암호화폐라는 측면에서는 비슷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목표가 판이한 전혀 다른 두 프로젝트이다. 비트코인은 이제까지 등장한 암호화폐 중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이며 가장 성공적인 암호화폐로 자리매김했다. 반면에 이더리움은 다목적 플랫폼으로서, 그 디지털 통화인 이더는 스마트 컨트랙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일 뿐이다.

암호화폐 측면에서 비교해봐도 이 두 프로젝트 간의 차이점은 엄청나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생성 가능한 물리적 상한선이 2,100만 개이지만, 이더의 잠재 공급량은 사실상 무한정이다. 게다가, 비트코인의 평균적인 블록 채굴 시간은 10분인 반면, 이더리움이 목표하는 시간은 12초에 불과해 확인 속도가 더 빠르다.

주요 차이점은 또 있다. 요즘은 비트코인을 성공적으로 채굴하려면 엄청난 연산 능력과 전기가 필요하며, 산업용 규모의 채굴 농장(mining farm)을 이용해야만 가능하다. 반면에, 이더리움의 작업증명(PoW) 알고리즘은 개인들의 분산 채굴을 고무시켜 준다.

이 두 프로젝트 간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아마도 이더리움의 내부 코드가 튜링 완전성(Turing complete)을 갖는다는 점일 것이다. 이는 말 그대로 충분한 연산 능력(computing power)과 시간만 주어진다면 모든 것을 계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비트코인에는 이러한 능력이 없다. 튜링 완전 코드는 이더리움 사용자에게 사실상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그 복잡성 때문에 잠재적인 보안 문제도 갖게 된다.

이더리움 작동방식

이더리움은 앞서 언급했듯이 비트코인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지만, 그 블록체인 디자인은 화폐 시스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수정되어 있다. 두 블록체인 간의 유일한 유사성은 각 네트워크의 거래 이력 전체를 저장한다는 것뿐이다. 하지만 이더리움의 블록체인은 그 이상으로 훨씬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거래 이력 외에도 네트워크 내의 각 스마트 컨트랙트의 가장 최근 상태나 현재 정보와 모든 사용자의 밸런스, 모든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그리고 이들이 저장되어 있는 장소도 다운로드 해야 한다.

본질적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거래 기반의 상태 기계(state machine)로 설명할 수 있다. 컴퓨터 과학에서 상태 기계는 일련의 입력을 읽어 들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어떤 것으로 정의된다. 거래가 실행될 경우, 이 기계는 다른 상태로 전환된다.

이더리움의 모든 상태는 수백만 건의 거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래들이 그룹화 되어 '블록(block)'을 형성하며, 모든 블록 각각은 이전의 블록에 묶여 있다. 그러나 이 거래가 원장에 추가되려면 먼저 검증되어야 하는데, 이는 `채굴(mining)’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채굴은 노드 그룹의 연산 능력이 본질적으로 수학적 퍼즐인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 문제를 완료하는 데 적용되는 과정이다. 컴퓨터 성능이 강력할수록 퍼즐을 푸는 속도는 더 빨라진다. 이 퍼즐에 대한 해답 자체가 작업증명으로서, 블록의 타당성을 보증해준다.

전 세계의 많은 채굴자들이 블록을 생성하고 검증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채굴자가 블록을 증명할 때마다 새로운 이더 토큰이 생성되어 해당 채굴자에게 보상으로 주어지기 때문이다. 채굴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중추이다. 이들은 네트워크 내의 거래와 다른 모든 작업들을 확인 및 검증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통화인 새로운 토큰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더리움의 용도

무엇보다도 개발자는 이더리움을 통해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해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중앙집중형 서비스를 이더리움 플랫폼을 이용해 탈중앙화 할 수 있다. 이더리움 플랫폼의 앱 개발 잠재력은 개발자의 창의성 외의 어떤 것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는다.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은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를 완전히 바꿔놓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요즘은 사용자가 상품과 서비스를 거래할 수 있는 에스크로 서비스와 플랫폼만을 제공하고서 수수료를 부과하는 서비스들이 많이 있다. 반면에, 고객은 이더리움의 블록체인을 통해 자신이 구매하는 제품의 원산지를 추적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의 구현을 통해 양 당사자가 어떠한 중개자도 없이 안전하고 신속한 거래를 보장 받을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웹 기반 서비스뿐만 아니라 오래 전에 확립된 계약 관행에도 혁신을 가져올 잠재력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한 보험업계는 규모 70억 달러 이상의 생명보험료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블록체인을 이용해 공정하고 투명하게 재분배될 수 있다. 게다가 고객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이행을 통해 온라인으로 보험금을 청구하기만 하면 보험금을 즉각 자동 지급 받을 수 있다. 청구 내용이 필요한 모든 기준을 충족시키기만 하면 된다.

본질적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그 핵심 원칙인 신뢰, 투명성, 보안 및 효율성을 어떠한 서비스나 비즈니스 또는 산업에도 실현할 수 있다.

이더리움은 어떠한 개입도 없이 완전히 투명하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탈중앙화된 자율조직(DAO)의 결성에도 이용될 수 있다. DAO는 프로그래밍 코드와 블록체인에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모음에 의해 운영된다. 이것은 조직에 대한 완전하고도 중앙집중적인 통제권을 갖는 개인이나 집단이 필요 없도록 고안되었다.

DAO의 소유주는 토큰을 구입한 사람들이다. 하지만 매입한 토큰의 금액이 지분 및 소유권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토큰은 사람들에게 투표권을 제공하는 기부금(contributions)이다.

이더리움의 장점

이더리움 플랫폼은 그 실행 기반인 블록체인 기술의 모든 특성이 제공하는 혜택을 누린다. 제3자의 개입에 전혀 영향 받지 않는데, 이는 네트워크 내에 구축된 모든 탈중앙화 앱과 DAO를 어느 누구도 통제할 수 없음을 뜻한다.

모든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합의 원칙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즉, 시스템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경사항에 대해 시스템의 모든 노드가 동의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기, 부패의 가능성이 없어지며, 네트워크의 변조가 불가능하다.

전체 플랫폼이 탈중앙화 되어 있으므로 단일 장애점이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모든 앱은 항상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며 꺼지는 법이 없다. 게다가, 탈중앙화라는 성격과 암호 보안 덕분에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해킹 공격 및 사기 행위가 발생해도 잘 보호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네트워크에 결함 발생이 없도록 의도되었지만, 그러한 성능은 코드 작성자의 능력에 좌우된다. 인적 오류의 여지는 항상 존재하며, 코드 실수가 있을 경우 악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일이 발생할 경우, 해커의 공격이나 그러한 실수의 악용을 막을 수 있는 직접적인 방법은 없다. 유일한 방법은 합의에 이르러 기반 코드를 다시 작성하는 것뿐이다. 하지만 이는 변경 불가능한 절대불변의 원장이어야 하는 블록체인의 본질과는 완전히 어긋나는 일이다.

'The DAO'는 2016년 4월 30일에 출시된 특정 DAO의 이름이다. 이 DAO가 공격을 받아 360만 개가 넘는 이더 토큰이 도난 당했다. 공격자는 코드 내의 '재귀호출 버그(recursive call bug)'를 이용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DAO로부터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자식 DAO'로 자금을 빼내는 것이다. 이 공격으로 인한 영향은 단지 막대한 DAO 자금의 손실에서 그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가 손상되어 20달러가 넘던 이더의 가치가 13달러 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이더리움은 기술적 배경이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도 탈중앙화 앱의 세계를 열어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그러한 일이 일어난다면 블록체인 기술의 혁명적 도약으로 대량 채택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 현재, 이 네트워크는 고유의 미스트(Mist) 브라우저를 통해 손쉽게 접속할 수 있는데, 이 브라우저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이더를 저장하고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지갑도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사용자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고 관리하며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는, 구글 크롬과 파이어폭스용의 메타마스크(MetaMask)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더리움 플랫폼은 현재 보험, 금융, 부동산 등과 같이 중앙집중식 통제에 의존하고 있는 수백 종의 산업에 엄청나게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이 플랫폼은 광범위한 서비스와 산업을 위한 탈중앙화 앱의 작성에 이용되고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앱 몇 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 사용자가 날씨로부터 선거 결과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투표할 수 있는 탈중앙화 예측 시장. — 이 애플리케이션은 트위터의 기능을 가져와 사용자에게 완전 무검열 통신 플랫폼을 제공한다. — 이것은 마인크래프트와 매우 흡사해 보이지만, 전적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 존재한다. —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는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 — 사용자에게 자기주권적 ID를 제공하여 검증을 수집하고, 암호 없이 로그인 하며, 거래를 디지털 서명하고, 이더리움 앱과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소비자가 구매 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개방적이고 접근 가능한 정보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것이다. 이는 제품의 원산지 및 이력 추적을 통해 이루어진다. — 정확한 예측에 대해 보상해주는 오픈소스 예측 및 예상 시장. —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사회기금과 자선단체에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한 플랫폼. — 세계 최초의 가상 국가, 블록체인 관할권. 여기에는 보험, 교육, 신분증, 그리고 대사와 난민을 위한 외교 프로그램 등등, 전통적인 국가와 동일한 수많은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다. — 노동을 다른 화폐가 아닌 이더와 교환해 주는 프리랜서 플랫폼.

탈중앙화 앱의 포괄적인 준비 목록을 State of the dApps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고 작성 당시 포함되어 있던 앱 수는 867개였다.

이더를 얻는 주된 방법은 구매하든가 채굴하는 것이다.

이더 구매를 위한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편리할 수 있는 방법은 거래를 통해 구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더로 ETH BRL | 이더리움 브라질 헤알 MercadoBitcoin. 거래하며 자신의 관할 구역 내에서 운영되는 거래소를 찾아 계좌를 개설한 뒤 자신의 은행 계좌를 이용하거나 송금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은행 카드를 이용해 이더 토큰을 구입하기만 하면 된다. 그 다음에는 이를 지갑에 저장해야 한다. 지갑은 거래소 자체에서 제공하거나 이더리움 고유의 미스트 브라우저나 다른 다양한 전문 서비스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개인간(P2P) 거래를 통해 이더를 얻을 수도 있다. 비트코인과 기타 암호화폐를 포함해 임의의 합의된 통화로 지불하면 된다. 이는 온라인 거래나 직거래, 어느 쪽으로도 가능하다. 비트코인 사용자들 간에는 개인간 거래가 좀더 인기 있다. 하지만 이더 토큰은 공급량이 사실상 무제한적인데다가 이더리움 플랫폼은 완전한 사용자 익명성을 가장 우선시하지 않기 때문에 이더는 대개 거래를 통해 얻게 된다.

이더 토큰을 얻는 또 다른 방법은 채굴하는 것이다. 이더리움 채굴에는 작업증명(PoW)이 사용되는데, 이는 채굴자가 자기 소유의 연산 능력을 기여해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액션 블록을 봉인 및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채굴자는 채굴된 모든 블록에 대해 보상 받는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