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의 패턴 분석
패턴 분석 기법
1.패턴이란?
차트상의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을 말합니다.
차트상에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을 분석하는것을 패턴분석기법이라 할수있습니다.
삼각형 패턴
주가가 반복적인 등락을 하다가 그 등락 폭이 줄어 들어 삼각형 모양을 만드는 패턴으로서 고점을 이은 선이 저항선 역할을 , 저점을 이은 선은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
기존 추세를 더욱 강화시켜는 패턴으로서 모양은 추세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들어 집니다 .
즉 상승추세에서 하락쐐기형이 하락추세에서 상승 쐐기형이 만들어 집니다
깃발형과 패넌트형의 혼합형으로서 실제에서 거의 비슷한 꼴로 나오고 있어 구분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
약간 차이가 난다면 윗선과 아랫선이 서루 평행하지 않고 한점을 향해 간다는 것입니다 .
좁은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주가 등락폭이 점차 확대되어 가는 모습을 하는 패턴으로서 장중에 변동성이 매우 강하여 일봉상으로
긴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장대 모양이 속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천정국면에서 종종 나타나며 지속패턴이라기 보다 오히려 전환패턴이다.후반부에 상승추세선이 하향 돌파된 시점에서 완성되며 하향 돌파시 거래량은 증가한다.
확산형 삼각형
이 패턴은 시장의 투자심리가 이상스러울 정도로 불안정한 상태일 때 나타나는 형태로 천정국면에서 주로 나타난다 .
따라서 이 패턴은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약세 패턴이다 . 3 번째 하향 돌파할 때 패턴이 완성된다 .
♣ 대단히 많은 투자자들의 참여를 알수있고 , 주로 상장장이 끝날 무렵에 자주 나타난다 .
매도와 매수 세력이 팽팽히 맞붙은 상황에서 잘 나오는 패턴으로 보통 패턴형성이 수일에서 수주 , 수년이 걸리는 횡보 패턴
이 두가지 패턴은 그래프로 자주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볼 수 있는 패턴으로 이중 천장형은 상승세 마무리에서 하락전환을 암시해 주고 이중 바닥형은 이와는 반대 현상을 암시해 줍니다 .
깃발형 패턴 과 패넌트형 패턴
급상승시 일부 차익세력들이 물량을 다른 세력에게 넘기는 단계로 모양이 깃발과 패넌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헤드앤 숄더형과 역헤드앤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숄더형
역헤드앤 숄더형은 헤드앤 숄더형을 뒤집어 놓은 꼴로 주로 하락추세의 마무리 단계에서 상승전환할 때 발견되는 패턴입니다 . 이것의 특징은 거래량이 헤드앤 숄더와는 반대로 이 패턴이 점점 완성되어 감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2.추세란?
추세 (Trend) 란 가장 단순한 의미로 시장의 진행방향 (Direction of market) 을 말하며 , 따라서 , " 추세 분석 " 이란 주가의 " 진행방향 " 을 분석하는 작업입니다
상승추세선 - 주가 저점을 연결하여 만들어선 ( 우상향-정배열 )
하락추세선 - 주가 고점을 연결하여 만들어선 ( 우하향-역배열 )
평행추세선 - 중요 가격의 저점이 일정하거나 고점의 가격이으로 박스권 이루어짐(횡보추세,박스권,비추세)
거래량추세선 - 상승 추세선과 거래량과 함께 보는것이 필요하다 . 추세선과 반대로 된다면 추세 반전을
경고하는 의미이고 추세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 추세를 확인한다 .
상승추세
연속하는 고점 (①-②) 들과 연속하는 저점 (③-④) 들이 높아진다
수급측면 - 매수세력이 강하다
하락추세
연속하는 고점 (①-②) 들과 연속하는 저점 (③-④) 들이 낮아진다 .
수급측면 - 매도세력이 강하다
횡보추세 ( 박스권 ) 비추세
연속하는 고점 (①-②-③) 간의 관계와 저점 (④-⑤-⑥) 간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 거의 수평등락 과정이 반복되거나 수렴과정이 진행된다 . 수급측면 - 매수 / 매도가 균형을 이룬다 .
상승하는 연속적인 두개의 저점 ( 場중 저가를 포함 ) 잇고 , 오른쪽으로 쭉 연장해서 , 다음 나오는 세번째
저점에서 지지를 받으면 " 상승추세선 " 으로 판단합니다
하락하는 연속적인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두개의 고점 ( 場중 고가를 포함 ) 을 잇고 , 오른쪽으로 쭉 연장해서 , 다음 나오는 세번째
고점에서 저항을 받으면 " 하락추세선 " 으로 판단합니다 .
♣추세선을 연결할때 종가 Or 고가 , 종가 Or 저가중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데 가장 신뢰도가 높은것은 추세선의 연결점이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다. 즉 고가(저가) 와 종가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추세이 전환 파악하기
아래의 그림은 종합주가지수 일간차트를 사용하였으며, 횡보국면을 일정기간 지속하다가 횡보국면을 상향 돌파하면서 상승추세로 전환되었으며 연속되는 고점,저점이 높아지는 상승추세가 진행되었다. 그뒤 직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지 못하는 국면이 발생하였고 직전 저점인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듯하였으나, 이내 하향 돌파하여 하락추세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차트의 패턴 분석
봉차트가 특정 패턴이 만들어 질때, 상승, 하락 추세로 파악 할 수 있습니다.
패턴은 아주 많기 때문에 모두 알기 힘들고, 아래 패턴으로도 충분 합니다.
저녁별, 하락추세 신호
저녁별은 하락추세 신호로 , 몸통이 짧고 , 위 , 아래 꼬리가 짧다 .
꼬리가 짧다는 것은 매수 / 매도의 균형이 팽팽 하다는 것입니다 .
새벽별, 상승추세 신호
새벽별은 상승추세 신호로 , 몸통이 짧고 , 위 , 아래 꼬리가 짧다 .
꼬리가 짧다는 것은 매수 / 매도의 균형이 팽팽 하다는 것입니다 .
교수형, 상승추세 끝
교수형은 꼬리가 길고 , 몸통이 작다 . 상승추세가 끝나는 신호입니다 .
상승추세가 끝나고 , 매수 / 매도가 팽팽하다가 , 하락추세로 전환이됨
해머형, 하락추세 끝
해머형 꼬리가 길고 , 몸통이 작다 . 하락추세가 끝나는 신호입니다 .
하락추세가 끝나고 , 매수 / 매도가 팽팽하다가 , 상승추세로 전환이됨
*꼬리가 아래로 길다는 것은 매수세가 강하여 , 저점에서 크게 회복 되었다는 것이고 ,
반대로 꼬리가 위로 길다면 매도세가 강하며 , 고점에서 크게 하락이 되었다는 것임
꼬리가 짧다는 것은 매수 / 매도가 균형이 팽팽한 것이고 , 꼬리가 길다면 ,
매수 / 매도 일반적으로 밀리지 않는 상태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
3. 상승 장악형과 하락 장악형
상승 장악형
첫째 날 보다 둘째날이 압도적일때 장악형이라 하며 , 첫째날이 음봉이고 ,
둘째 날이 양봉일때 , 상승 장악형으로 상승 추세로 전환한다는 신호임
하락 장악형
첫째 날 보다 둘째날이 압도적일때 장악형이라 하며 , 첫째날이 양 봉이고 ,
둘째 날이 음 봉 일때 , 하락 장악형으로 하락 추세로 전환한다는 신호임
작삼병
적 삼병은 양봉이 3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번이나 지속 된것으로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음 알리는 신호로 파악하면 됩니다 .
흑삼병
흑 삼병은 음 봉이 3 번이나 지속 된것으로 하락세가 지속될 수 있음 알리는 신호로 파악하면 됩니다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적삼병 , 흑삼병 모두 각봉의 시가가 이전봉에 몸통에 있는 경우 이며
몸통이크고 , 위아래 꼬리가 짧다 . 거래량이 많고 , 몸통이 클 수록 의마가 크다
주식 차트에서 연속된 캔들이 가진 뜻 이해하기
캔들차트
01. 연속된 캔들에 대한 분석
- 2개의 연속된 캔들을 분석하는 것은 당연히 하나의 캔들을 분석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고 신뢰도가 높을 것입니다. 이번에는 복수의 캔들이 어떤 패턴과 의미를 담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1) 상승 장악형, 하락 장악형 모양
붙어있는 2개의 캔들 해석 1
① 상승 장악형
상승 장악형 패턴이란 전날의 음봉과 다음날의 양봉이 붙어있는 형태로 다음날 양봉의 몸통 크기가 충분히 커서 전날의 음봉을 완전히 덮어버린 것처럼 보입니다. 이 패턴이 등장하면 곧 주가가 상승 전환한다는 신호로 볼 수 있으며, 만약 분명한 하락 추세 후에 등장했다면 그 가능성은 매우 높아집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매수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하락 장악형
하락 장악형은 상승 장악형의 반대 패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날의 음봉이 전날의 양봉을 감쌀 정도로 강한 힘을 가지고 하락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패턴이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등장하게 되면 향후 주가의 하락 전환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상승 장악형 때와는 반대로 매도 전략을 취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관통형, 먹구름형 모양
붙어있는 2개의 캔들 해석 2
관통형 패턴은 다음날 양봉과 전날 음봉이 비슷한 몸통 크기를 형성하는 형태인데, 구체적으로 다음날 양봉의 시가가 전날 음봉의 저가와 비슷한 위치에 형성되고 종가는 전날 음봉 몸통의 50%선 위에 자리잡은 것입니다. 이 패턴은 기본적으로 주가 상승을 예고하는 신호이며, 종가가 전날의 음봉 몸통의 50%선과 멀어질수록 그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매수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다음날 종가가 전날 음봉 몸통의 50%선에 다다르지 못했다면 매수하지 말고 조금 더 기다려보아야 합니다.
먹구름 패턴은 관통형의 반대 모습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음날의 시가가 전날 양봉의 고가와 비슷한 위치에 형성되며, 종가는 전날 양봉 몸통의 50%선 아래에 나타납니다. 이 패턴이 등장하면 투자자는 주가 하락의 가능성을 예상하고 매도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통형과 마찬가지로 다음날 종가와 전날 50%선 사이의 거리가 길수록 그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3) 상승 반격형, 하락 반격형 모양
붙어있는 2개의 캔들 해석3
① 상승 반격형
상승 반격형 패턴은 전날과 다음날에 각각 음봉, 양봉을 형성한 상태에서 각 일봉의 종가가 일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같은 패턴이 등장하게 되면 주가 상승을 예고하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만약 각 일봉의 종가가 일치하는 것을 넘어서서 다음날 종가가 전날 종가 위에 위치한다면 그 신뢰도는 더욱 높아집니다.
② 하락 반격형
하락 반격형은 상승 반격형 패턴의 반대로서 전날과 다음날의 종가가 일치하는 상태에서 전날에 양봉이, 다음날에 음봉이 형성된 경우입니다. 이 패턴은 주가 하락을 예고하는 신호로서 투자자는 매도 전략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4) 상승 잉태형, 하락 잉태형 모양
붙어있는 2개의 캔들 해석 4
① 상승 잉태형
상승 잉태형 패턴은 전날 음봉이 다음날 양봉을 감싸고 있다는 형태로서 하락추세에서 이 패턴이 등장한다면 이후의 주가 상승을 예고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날 양봉의 몸통이 작을수록 그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② 하락 잉태형
하락 잉태형은 상승 잉태형이 반대의 색으로 나타났다고 보면 됩니다. 이 패턴이 상승 추세 도중에 등장한다면 이는 주가 하락을 예고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다음날 음봉의 몸통이 작을수록 그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5) 양봉 후 십자 잉태형, 음봉 후 십자 잉태형 모양
붙어있는 2개의 캔들 해석 5
① 양봉 후 십자 잉태형
전날 양봉 후에 십자형 캔들이 이어지는 형태로 상승 추세에서 이 패턴이 등장한다면 곧 주가가 하락 반전을 맞이하게 된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② 음봉 후 십자 잉태형
전날의 일봉이 음봉 형태로 나타난 경우입니다. 이 패턴이 하락 추세에서 등장한다면 주가가 상승 반전하게 된다는 예고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6) 적삼병과 흑삼병 모양
붙어있는 2개의 캔들 해석 6
적삼병은 3개의 양봉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를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말합니다. 이 패턴이 등장한다면 이것은 향후 주가가 반등하여 오를 것이라는 전망과 동시에 그 상승이 좀 더 장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꼬리가 없거나 짧을수록, 그 상승 기세가 강하게 유지될 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것이라는 뜻입니다.
흑삼병은 적삼병에서 색이 바뀐 것으로 3개의 음봉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이 패턴은 주가가 꾸준하게 하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패턴이며 그 하락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고입니다. 적삼병과 마찬가지로 몸통에 꼬리가 없거나 짧을수록 그 신뢰도는 증가합니다.
차트의 패턴 분석
삼각 수렴하는 형태를 보여줬다.
그리고 지루한 삼각 수렴 이후,
슬슬 방향성을 보여주려는
저번 20일 포스팅 이후,
비트코인은 1개월 넘게 이어오던
상승 추세선을 이탈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BTC 차트 4시간봉
상승추세선을 이탈하는 지점에서
BTC 투자금의 일부 (10%) 물량만
숏포지션(공매도) 진입 을 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가격은 $30000 을 하방 돌파 했다
생각보다 낮은 거래량과
캔들이 $30000 위에서 마감 되는 것을
확인하고 추가 물량 진입은 보류 .
새로 형성한 전저점 인 $28800 을
거래량과 함께 하방 돌파 한다면
추가 숏포지션(공매도) 진입 예정
상승추세선을 하방돌파했던
가격대로 회귀한다면
진입했던 숏포지션은 정리
(전저점 하방 재돌파시
숏포지션 진입은 여전히 유효)
BTC 도미넌스 의 상승과 함께
전고점($42000) 을 뚫어준다면
롱포지션(공매수) 진입 예정
비트코인 일봉 차트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