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센딩 트라이앵글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깃발형

어센딩 트라이앵글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 동안 지속 형성되는 강세 패턴입니다. 오름차순 삼각형이 하락 추세의 끝에서 반전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연속 패턴입니다. 형성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오름차순 삼각형은 누적을 나타내는 강세 패턴입니다.

어센딩-트라이앵글-오름차순-삼각형

어센딩 트라이앵글

어센딩 트라이앵글

어센딩-트라이앵글-차트

어센딩 트라이 어센딩 트라이앵글 앵글 차트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모양 때문에 직각 삼각형 패턴이라고도 합니다. 두 개 이상의 동일한 고점이 상단에 수평선을 형성합니다. 둘 이상의 상승 저점이 상승하면서 수평선에 수렴하는 상승 추세선을 형성합니다. 두 선을 모두 오른쪽으로 확장하면 상승 추세선이 직각 삼각형의 빗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수평선의 왼쪽 끝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선을 그리면 직각 삼각형이 형성됩니다.

  • 추세: 지속 패턴으로 자격을 얻으려면 확립된 추세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상승 삼각형은 강세 패턴이기 때문에 현재 추세의 길이와 지속 기간은 가장 중요한 형성의 견고성만큼 중요하지 않습니다.
  • 상단 수평선: 상단 수평선을 형성하려면 최소 2개의 반응 최고치가 필요합니다. 최고점은 정확할 필요는 없지만 서로 합리적으로 근접해야 합니다. 최고점 사이에는 약간의 거리가 있어야 하고, 그 사이에는 낮은 반응이 있어야 합니다.
  • 더 낮은 상승 추세선: 더 낮은 상승 추세선을 형성하려면 최소 두 개의 반응 최저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반응 저점은 연속적으로 높아야 하며 저점 사이에 약간의 거리가 있어야 합니다. 최근 반응 저점이 이전 반응 저점과 같거나 작으면 오름차순 삼각형이 유효하지 않습니다.
  • 기간: 패턴의 길이는 몇 주에서 몇 개월까지 다양하며 평균 패턴은 1-3개월 지속됩니다.
  • 거래량: 패턴이 발전함에 따라 거래량은 일반적으로 축소됩니다. 업사이드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하면 브레이크 아웃을 확인하기 위해 볼륨 확장이 있어야 합니다. 볼륨 확인이 선호되지만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 브레이크아웃으로 돌아가기: 기술 분석의 기본 원칙은 저항이 지지로 바뀌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오름 삼각형의 수평 저항선이 끊어지면 지지선이 된다. 때때로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지지선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 타깃: 브레이크아웃이 발생하면 패턴의 가장 넓은 거리를 측정하고 저항 브레이크아웃에 적용하여 가격 예측을 찾습니다.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대칭 삼각형과 달리 실제 돌파 전에 확실한 강세 편향을 가집니다. 대칭 삼각형은 다음 움직임의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임박한 돌파에 의존하는 중립적인 포메이션입니다.

  • 오름차순 삼각형에서 수평선은 유가 증권이 특정 수준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는 간접 공급을 나타냅니다. 이는 마치 이 수준에서 대량의 매도 주문이 내려지고 실행하는 데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리므로 가격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가격이 이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수는 없지만 반응 최저점은 계속 상승합니다. 증가된 구매 압력을 나타내고 상승 삼각형에 강세 편향을 부여하는 것은 이러한 더 높은 저점입니다.

실시간 차트 비교

간단하게 차트 보는 방법

트레이딩-뷰-차트-보는법

트레이딩 뷰

차트 보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심볼/종목에 해당되는 종목을 입력 후 마우스나 휴대폰에서 확대/축소할 수 있으며 도구 또한 사용 가능합니다. 팝업창을 열면 더욱 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확대/축소는 마우스 휠을 돌리거나 가격 영역에서 마우스 왼쪽 누른 상태로 위/아래로 드래그하면 됩니다.)

실시간 차트

실시간 차트 입니다. 국내 주식은 장 중이라도 오차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코인 같은 경우에는 오차 없이 실시간 체크가 가능합니다.

어센딩-트라이-앵글

트레이딩

어센딩 트라이앵글의 상향 돌파는 수평 추세선의 시작 고점 가격 (166.80)에서 패턴의 가장 낮은 저점(129.60)의 높이를 계산한 다음 상승 목표가(70%)를 곱합니다. 결과 값을 상단 추세선 돌파 값에 추가해 목표가 (192.84)를 얻습니다.

  • 상향 돌파 목표가 고정 계산식 H + ((H - L) × 70%)
  • 계산 결과 166.80 + ((166.80 - 129.60) × 70%) = 목표가 192.84가 나왔습니다.
  • 실제 차트의 최고가는 192.90이었습니다.

마지막 정리

어센딩 트라이 앵글은 차트 패턴으로 이어지는 모든 방향이 될 수 있습니다. 삼각형 모양으로서 가격은 수렴하는 두 추세선 사이에서 움직입니다. 또한 두 개의 추세선이 가격을 묶습니다. 위쪽 추세선은 수평이고 아래쪽 추세선은 위쪽으로 기울어집니다.

타이롱의 트레이딩을 위한 공간

저작권 위반사례가 확인되면 증거확보하고 있으니 혹시나 나는 걸리지 않을까? 하고 쉬이 여기지 마세요.

제 글은 공부용으로만 보고 복제, 변형, 재배포, 2차 저작 등을 하지 마세요.

차트를 보다 보면 삼각수렴이 자주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각수렴은 발산된 주가(가격)이 어느 지점에 도달하면 매수세와 매도세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생기며,

이 삼각수렴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삼각수렴의 입구 크기만큼 주가(가격)이 진행되는 성향이 있습니다.

삼각수렴은 크게 3종류가 있습니다.

1) 어센딩 트라이앵글 윗변이 수평이고, 아랫변이 상승하는 어센딩 트라이앵글

2) 윗변이 하락하고, 아랫변이 상승하는 시메티컬 트라이앵글(대칭삼각형)

3) 윗변이 하락하고, 아랫변이 수평인 디센딩 트라이앵글입니다.

▲삼각수렴 종류

아래에 나온 깃발형은 상승할 때 어센딩 트라이앵글 혹은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이 나옵니다.

주가의 진행방향이 상승->삼각수렴->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하락할 때는 디센딩 트라이앵글 혹은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이 나옵니다.

주가의 진행방향이 하락->삼각수렴-> 하락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깃발형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보통 상승방향으로 주가가 향하며, 디센딩 트라이앵글은 보통 하락방향으로 주가가 향합니다.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의 경우 방향성이 정해져있지 않기 때문에 삼각수렴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돌파매매를 주로 하는 편이며, 손절라인도 명확합니다. 하지만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이라도 보통 주가의 진행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예측한 반대방향의 추세선을 손절라인으로 두고 선진입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어센딩 트라이앵글

삼각수렴은 언제나올까?

엘리엇웨이브 이론에 따르면, 삼각수렴은 마지막파동의 이전 파동 (5파 이전인 4파 횡보조정 or C파 이전인 B파 횡보조정)과 복합조정의 마지막파동 (WXY의 Y or WXYXZ의 Z파동)에서 나온다고 설명되어져 있습니다.

엘리엇웨이브에서는 그래서 4파에서 삼각수렴을 할 경우 5파동이 추진파동으로 삼각수렴 입구 크기만큼 나오며, 이 추진파동의 예측범위를 벗어날 경우 5파동이 연장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엘리엇웨이브를 사용할줄 아신다면 삼각수렴에 좀 더 쉽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하모닉패턴 관점에서는 삼각수렴은 Retracement Pattern과 Projection Pattern의 A포인트, B포인트, C포인트 사이에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엘리엇웨이브 B파 조정부근이기 때문이죠.

위의 엘리엇웨이브와 하모닉패턴의 경우는 해당이론을 공부하신다면 제가 하는 얘기가 이해가실 것입니다.

삼각수렴의 두드러진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거래량 입니다.

삼각수렴과 웻지형은 주가가 수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주가가 수렴하면서 거래량 또한 감소하게 됩니다.

감소된 거래량은 주가가 방향성을 가지고 삼각수렴의 한 변을 돌파할 때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것은 추세가 진행됨을 의미합니다. 만약 삼각수렴이라고 생각했지만 눈에 띄는 거래량이 나오지 않았다면 그것은 삼각수렴이 아니며, 휩쏘일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삼각수렴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어떤 방법으로 매매해야 하는지)

1) 엘리엇웨이브 ABCD파동까지 단타매매를 한 후, E파동을 기다리며 파동이 나온 후 여러 시그널을 따라서 진입 후 손절은 반대쪽 변으로 잡는 방법(공격적인 매매방법이며, 손절을 잡아두지 않는다면 절대 비추천합니다.)

2) 엘리엇웨이브 ABCDE파동까지 나온 후 거래량을 동반하여 삼각수렴을 돌파하는 흐름이 나올 경우 진행 방향을 따라하는 매매 방법(보수적인 매매방법이며, 추세추종 매매이기 때문에 손절위험이 적습니다. 다만 1번의 방법보다 진입가격이 불리합니다.)

3) 엘리엇웨이브를 모르겠다 싶으면, 상승 깃발형 혹은 하락 깃발형을 염두에 두고 돌파되는 방향으로 매매하는 방법입니다. 휩쏘만 주의해서 매매하신다면 비교적 수익을 얻기 쉬우며, 이때 진행방향쪽으로 이평이나 스토캐스틱 등의 시그널이 일치하는지 확인해주세요. 이평이나 스토캐스틱 시그널의 일치는 1번과 2번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4) 삼각수렴부근에서 아예 매매하지 않는 방법 입니다. 추세추종매매가 가장 명확하고 수익을 취하기 좋으며, 횡보 및 수렴할 때는 매매를 지양하는 것이 자산을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거래량을 동반한채 삼각수렴을 돌파한다 하더라도 간혹 휩쏘라는 거짓돌파가 나올 수 있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대응이 안되는 분은 삼각수렴 자체를 매매하지 않는 구간으로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고점이나 저점에서 삼각수렴처럼 보이는 매집 구간(롱포지션, 숏포지션)이 나타납니다. 이것을 깃발형이나 엘리엇웨이브 4파 조정으로 보고 손절 없이 미리 진입했다가 크게 물리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며, 분석하였다고 하더라도 손절은 필수입니다.

모든 매매는 예측을 하지만 다른 매매시그널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해야 하며, 잘 모르겠으면 관망하여 시드를 보존하는 것이 최고의 매매방법입니다. 지금 벌지 않더라도 시드가 있으면 언제든 벌 수 있지만, 지금 잃으면 시드를 복구해야하는 데 더 많은 수익이 필요합니다. 매매를 하지 않은만 못하죠.

차트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대응이 불가능하신 분은 4번대로 매매를 지양해주세요.

바이낸스 거래소 현물20%, 선물 10% 수수료 할인 링크

안녕하세요. 제가 21년 바이낸스 인플루언서로 등록하면서 레퍼럴 할인링크를 받았습니다. 처음에는 레퍼럴을 운영하지 않으려고 하다가, 인플루언서 레퍼럴 수수료율은 서로에게 윈윈이 될 수

스토캐스틱 이평선 다이버전스 활용한 4분할 차트매매법

위의 책은 RSI다이버전스, 이동평균선, 스토캐스틱과 이와 연관된 매매노하우가 적힌 전자책입니다. 초보에서 중수, 고수에 이르기까지 알아두면 도움이 될만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구

★하모닉 패턴 7가지 실전 매매 방법 ★

안녕하세요. 기술적분석에 대해 공부하고, 공부방법을 공유하기 위해 트레이딩뷰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타이롱입니다. 투자와 더불어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만들기 위

어센딩 트라이앵글

플래그(flag)는 장기간의 추세에 반해 횡보하는 구간이며, 급격한 가격 움직임 이후에 나타납니다. 이는 깃대의 플래그[깃발] 모양이며, 깃대는 가격이 갑작스럽게 움직이는 구간이며, 플래그는 횡보 구간입니다.

플래그는 추세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해당 패턴과 동반되는 거래량 또한 중요합니다. 이상적으로는 급격한 움직임에 많은 거래량이 동반되어야 하며, 횡보 구간의 거래량은 이보다 적고, 점차 감소해야 합니다.

1. 불 플래그

불 플래그(bull flag)는 상승 추세에서 발생하며 급격한 가격 상승이 이후,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계속 이어갑니다.

2. 베어 플래그

베어 플래그(bear flag)는 하락 추세에서 발생하며 급격한 가격 하락 이후, 일반적으로 하락 추세를 계속 이어갑니다.

트라이앵글

트라이앵글 차트 패턴은 횡보하는 가격대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추세는 계속 이어지게 됩니다. 트라이앵글은 추세가 잠시 멈추었으며, 추세가 역전 혹은 지속될 수 있음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1. 어센딩 트라이앵글

어센딩 트라이앵글(ascending triangle)은 수평적인 저항대가 있을 때 형성되며, 상승 추세선은 더 높은 저점을 따라 그려집니다. 기본적으로 가격이 수평 저항대의 반응을 살피며 움직일 때마다, 더 높은 가격대의 매수자가 발생해 저점이 높아집니다. 저항대에서 긴장감이 조성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이를 돌파할 경우 많은 거래량과 함께 급격한 가격 상승이 이어지곤 합니다. 이처럼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하나의 상승 패턴입니다.

2. 디센딩 트라이앵글

디센딩 트라이앵글(descending triangle)은 어센딩 트라잉앵글과 반대입니다. 이는 수평적인 지지대가 있을 때 형성되며, 하락 추세선은 더 낮은 고점을 따라 그려집니다. 어센딩 트라이앵글과 마찬가지로, 가격이 수평 지지대의 반응을 살피며 움직일 때마다, 더 낮은 가격대의 매도자가 발생해 고점이 낮아집니다. 가격이 수평 저항 구간을 이탈할 경우, 많은 거래량과 함께 급격한 가격 하락이 발생하곤 어센딩 트라이앵글 합니다. 이처럼 디센딩 트라이앵글은 하락 패턴 중 하나입니다.

3. 시메트리컬 트라이앵글

시메트리컬 트라이앵글(symmetrical triangle)은 하락하는 추세선 윗부분과 상승하는 추세선 아랫 부분으로 그려집니다. 시메트리컬 트라이앵글은 상승이나 하락 패턴이 아니며, 맥락(즉, 기반이 되는 추세에 기초하여)에 따라 그 해석이 크게 달라집니다. 이는 중립적인 패턴으로 간주되며, 단순히 횡보 기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웨지는 추세선에 수렴하며 그려지며, 이는 가격 변동이 적어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추세선을 통해 저점과 고점이 서로 다른 비율로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추세 전환이 임박했음을 의미할 수 있는데, 기반이 되는 추세가 점차 약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웨지 패턴에서는 거래량 하락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추세가 모멘텀을 잃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1. 라이징 웨지

라이징 웨지(rising wedge)는 하락세 전환 패턴입니다. 가격이 힘겹게 상승함에 따라 상승 추세는 점차 약해지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추세선 의 저점을 이탈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 폴링 웨지

폴링 웨지(falling wedge)는 상승세 전환 패턴입니다. 이는 가격이 힘겹게 하락하며, 추세선에 압박이 가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폴링 웨지는 보통 갑작스러운 상승 움직임으로 이어집니다.

어센딩 어센딩 트라이앵글 트라이앵글

삼각수렴은 코인이나 주식 차트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캔들패턴으로 지지선과 저항선을 그었을 때 삼각형으로 수렴하는 패턴의 차트를 말한다.

삼각수렴 생성 배경

가격이 어느 지점에 도달할 때 매도세와 매수세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생긴다. 엘리엇 파동이론에 따르면 삼각수렴은 마지막 파동의 이전 파동과 복합조정의 마지막파동에서 나온다고 설명되어 있다. 마지막 파동의 이전 파동이란 5파 이전인 4파 횡보조정이나 C파 이전인 B파 횡보조정을 의미한다. 복합조정의 마지막 파동이란 WXY의 Y 또는 WXYXZ의 Z파동을 의미한다. 엘리엇 파동이론에서는 4파에서 삼각수렴할 경우 5파동이 추진파동으로 삼각수렴 입구 크기만큼 나오며, 이 추진파동의 예측범위를 벗어날 경우 5파동이 연장된다고 한다.

삼각수렴 종류

삼각수렴의 종류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상승 삼각수렴, 하강 삼각수렴, 대칭 삼각수렴이다. 어센딩 트라이앵글, 디센딩 트라이앵글,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이라고도 한다.

각 삼각수렴 별 특징

일반적으로 상승방향으로 가격이 향한다. 이유는 저점이 높아지기 때문인데, 이는 하단에서 매수세가 들어오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즉, 상승 삼각수렴 패턴은 고점은 일정한 가격대를 유지하지만, 저점은 높아지는 패턴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용어로 짝궁댕이, 쌍바닥, W패턴, 하이힐 패턴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하락방향으로 가격이 향한다. 저점 추세선은 일직선을 유지하고 고점 추세선이 하락하는 패턴이다.

방향성이 정해져 있지 않다. 대칭 삼각수렴은 매도 세력과 매수 세력이 비슷한 힘을 가지고 수렴되는 패턴이다. 수렴되었을 때 더 강한 힘 방향으로 주가가 움직인다.

삼각수렴의 특징

삼각수렴의 경우 두드러진 특징이 가격이 수렴하면서 거래량또한 감소한다는 것이다. 줄어든 거래량은 방향성을 가지고 삼각수렴의 한 변을 돌파할 때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는 추세가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삼각수렴 이후 추세선 돌파시 눈에 띄는 거래량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이 삼각수렴 패턴이 아니라 휩쏘일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삼각수렴 이후 추세선 돌파시 눈에 띄는 거래량이 있는지 확인하고 매수/매도를 해야한다.

또 다른 삼각 수렴 패턴의 특징으로는 차트 상 가장 많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삼각 수렴은 일봉이나 주봉보다 간격이 짧은 1시간 이내의 차트에서 주로 발견된다. 때문에 어센딩 트라이앵글 단타 트레이더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초보자들이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분봉 패턴에서 삼각수렴의 패턴을 보고 이탈시 매수/매도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사실 썩 좋지 않은 방법에 속한다. 분봉패턴의 삼각수렴은 정확하지 않음이 그 이유이며, 옳다고 하여도 스캘핑식 접근을 해야하기에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삼각수렴의 경우 통상적으로 3개의 고점과 3개의 저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그 이상 나타날 경우 패턴의 완성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추세선을 돌파할 경우 삼각수렴 패턴의 최초 상승/하락 폭이므로 패턴의 시작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삼각수렴 판단 방법

삼각수렴에 진입할 경우 입구의 볼륨이 가장 크고 입구부터 해서 점점 거래량이 줄어드는 양상을 띤다. 때문에 거래량을 보는 트레이더들은 거래량 어센딩 트라이앵글 감소를 보고 수렴 진입여부를 판단한다.

삼각수렴 대응 방법

엘리엇 파동 ABCD 파동까지 단타 후 E 파동을 기다리며 파동이 나온 이후 여러 시그널에 어센딩 트라이앵글 따라 진입 후 손절은 반대쪽 변으로 잡는 방법이다. 하지만 리스크가 다소 크기 때문에 손절라인을 잡을 것을 권한다.

엘리엇 파동 ABCDE 파동까지 나온 후 거래량과 함께 삼각수렴을 돌파하는 흐름이 나올 경우 진행 방향에 따라 매매하는 방법이다. 추세추종 매매이기에 손절위험이 적으나 진입가격 측면에서 불리한 것이 특징이다.

3. flag-based 매매방법

flag-based라는 용어는 임의로 만든 것으로, 상승 깃발형과 하락 깃발형을 기준으로 거래량을 어센딩 트라이앵글 동반해서 돌파하는 방향으로 매매하는 방법이다.

위의 1, 2, 3번 매매 법의 공통적인 주의점은 이평선이나 스토캐스틱 등의 시그널이 돌파방향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