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채권 '팔자' 전환
외국인의 채권매수 강도가 급속히 약해지고 있다. 선물시장에선 연일 순매도에 나서고 있고,현물 역시 신규 매수 규모가 급격히 줄었다.
27일 한국거래소와 대우증권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주 국채선물시장에서 3조949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달 초까지 순매수 기조를 유지했던 외국인은 지난 16일 매도 우위로 돌아선 뒤 전주말까지 8일 연속 '팔자'를 나타냈다.
현물시장에선 '사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규모가 크게 줄었다. 외국인의 이달(1~25일) 채권 순매수 규모는 5조6273억원으로 지난달(8조8501억원)의 6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윤여삼 대우증권 연구원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던 외국인 채권 보유잔액이 오히려 줄고 있다"외국인 채권 롤오버 며 "이는 외국인이 만기가 돌아온 보유채권의 롤오버(이월) 외에 신규 투자는 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주 외국인은 장외시장에서 약 1조4000억원의 채권을 사들였지만 보유잔액은 오히려 72조7188억원으로 전주보다 2808억원 줄었다.
하반기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로 국채 수익률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외국계은행 국내 지점에 대한 선물환 규제가 강화되면서 선물시장 외국인들이 몸을 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오창섭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국채 선물가격이 급락(수익률이 급등)하면서 20일 이동평균선을 뚫고 내려갔다"며 "외국인은 2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선 매도 우위로 돌아서는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선물환 규제에 앞서 포지션을 미리 늘렸던 외은 지점들이 추가 규제 우려로 비중을 다시 줄이면서 선물 매도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재형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펀드 결산이 있는 분기 말인 데다 일부 외국 기관들은 그간 많이 사들인 2~3년물을 중심으로 한국 채권을 덜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만기 5년 이상의 장기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재정거래와 환차익을 노리고 샀던 단기물 중심으로 차익 실현이 이어져 외국인의 채권 매수세가 주춤해졌다는 설명이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KB증권 리테일 채권 판매액, 8월까지 64%↑…10조 넘어
KB증권은 올해 리테일 채권 판매액이 10조원을 돌파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작년 같은 기간 채권 판매액(6조1000억원)보다 64% 증가한 규모다. 월평균 판매액도 전년 8000억원에서 올해 1조3000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한국은행이 올초 연 1%이던 기준금리를 연 2.50%까지 인상하면서 채권 금리도 단기간에 급격하게 상승했다. 국고채 금리가 연 3%, 회사채 금리가 연 4%를 넘어가면서 개인 고객과 일반법인의 채권 매수세가 몰렸다는 설명이다.상품별로는 만기 1년 이하 CP(기업어음), 전자단기사채 판매액이 8조원을 기록하며 작년 대비 53% 증가했다. 중장기 채권은 판매 비중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올 들어 KB증권이 판매한 중장기 원화채권 판매액은 2조원에 육박해 전년 대비 2.5배 증가했다. KB증권 관계자는 “최근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은 발행금리가 연 4% 후반으로 결정되면서 고금리를 원하는 매수자가 몰리는 등 판매 수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배태웅 기자
채권에 몰린 개미 투심…KB증권 8개월 만에 리테일 채권 판매액 10조원 넘겨
KB증권은 올해 리테일 채권 판매액이 10조원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채권금리가 단기간 급격히 상승하면서 채권 매수세가 몰렸다는 설명이다. KB증권은 작년 1월~8월까지 채권 판매액 6조1000억원 수준과 비교하면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고 밝혔다. 월평균 판매액도 전년 8000억원에서 올해 1조3000억원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올해 초 연 1%에서 연 2.50%까지 인상되면서 채권 금리도 단기간 급격하게 상승했다. 국고채 금리가 연 3%, 회사채 금리가 연 4%를 넘어가면서 개인 고객과 일반법인의 채권 매수가 몰렸다는 설명이다. 상품별로는 만기 1년 이하 CP(기업어음), 전자단기사채의 판매액이 8조원을 기록하며 작년 대비 53% 증가했다. 중장기 채권은 판매 비중이 외국인 채권 롤오버 두배 가까이 늘었다. 올들어 KB증권이 판매한 중장기 원화채권의 판매액은 2조원에 육박해 전년 대비 2.5배 증가했다. KB증권 관계자는 "최근 발행되는 신종자본증권의 경우 발행금리가 연 4% 후반으로 결정되면서 고금리를 원하는 매수자들이 몰리는 등 판매 수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성현 KB증권 채권상품부장은 "기업이나 고액자산가들의 투자처로만 인식됐던 채권에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고객들이 만족할만한 다양한 채권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배태웅 기자 [email protected]
신보 8월 유동화증권 6천80억원 발행…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
하반기 2조원 지원계획…올해 지원규모 총 5조원 신용보증기금은 8월 중 6천80억원 규모의 유동화증권을 발행해 코로나19 피해기업 등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하반기 중 유동화증권 발행을 통한 자금지원 계획 규모는 총 2조원(신규지원 1조5천억원)이다. 상반기 발행분 3조원을 포함한 올해 예상 지원 금액은 총 5조원이다.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경영평가 우수 제조기업에는 금리 우대혜택을 제공한다. 신보의 유동화 회사보증은 개별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 등을 기초자산으로 유동화증권(P-CBO)을 발행해 기업이 직접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이지훈 기자] 채권시장은 10일 보합세로 마감했다.
거래의 중심은 매매보다는 롤오버로 옮겨간 모습이다.
시장 변동성이 낮은 상황이라 평소보다 일찍 시작하는 모양새다.
다음 날엔 2021년 국고채 발행계획이 발표된다.
시장의 관심이 높은 재료이나 이미 알려진 재료로 가격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란 견해가 우세해 보인다.
국고3년 선물 월물간 스프레드는 13틱, 10년 선물은 23틱에 마감했다.
국고3년 월물간 스프레드 매매가 125,616계약, 10년은 67,980계약으로 근월물 거래량보다 많았다.
국고3년 선물은 2틱 상승한 111.72, 국고10년 선물은 1틱 상승한 130.81를 기록했다.
3-10년 스프레드는 1.5비피 축소된 외국인 채권 롤오버 외국인 채권 롤오버 68.0비피, 10-30년 스프레드는 0.3비피 좁혀진 10.2비피를 나타냈다.
21년도 국채발행계획이 다음 날인 11일 발표된다. 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견해가 보인다.
증권사의 한 운용역은 "총발행량이 정해져 있는 상황이라 경쟁입찰로 월 13조원 정도로 보고 있다"면서 "올 하반기 발행량과 비슷한 수준이라 절대 물량에 따른 약세 영향은 크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국고채 2년물이 신설되지만 PD사들이 참여하고 비경쟁옵션도 주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PD사 참여로 2년물의 시장 소화엔 무리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의 한 중개인은 "국고채 2년물 발행에 관심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에 충격을 줄만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주식·채권 선물 하루에만 1조 넘게 투하…"외국인 왜 한국 시장서 발 빼나"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한국 주식과 채권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주식 선물 시장에선 최근 10개월 만에 대규모 순매도 물량을 쏟아내면서 자금을 뺐다. 채권 선물 시장에서도 외국인 자금이 썰물처럼 빠지고 있다. 한국 금융 시장과 경기 성장성을 극히 부정적으로 내다보면서 선제적으로 자금을 빼 대응을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이 전날 코스피200 선물을 1만4610계약 순매도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1조2698억원어치다. 지난해 8월10일 1만5982계약(1조7158억원어치)을 순매도한 이후 최대치 기록이다. 외국인이 선물 시장에서 대규모 자금을 뺐다는 것은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인플레이션으로 시장 지표가 악화할 것으로 판단해 유동성이 높은 한국 시장에서 발을 빼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선이다. 특히 하루에 1만계약 이상의 선물 매도는 외국인의 투자 심리가 급격히 흔들린다는 것을 방증한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금리가 재반등하는 가운데 물가 압력도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외국인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기관 투자자가 스프레드 거래에 대거 참여하는 이번주에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면서 "외국인이 1개 분기 만에 매수 롤오버를 진행한다면 지수 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지만,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채권 시장에서도 외국인이 3년 국채 선물을 연일 대규모로 매도하면서 경고음이 커졌다. 최근 4거래일 연속 1만계약씩 내던지고 있다. 지난달 31일 1만4625계약, 2일과 3일은 각각 1만4302계약, 1만1925계약을 순매도했다. 금액으로는 1조5437어원, 1조5046억원, 1조2529억원에 달한다. 1조원 이상 쏟아낸 것은 지난 3월22일(1조2034억원) 이후 처음이다. 더불어 외국인이 3거래일 연속 1만계약이 넘는 순매도세를 나타낸 것은 작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전날에도 1만1733계약(1조2308억원)을 순매도했다. 최근 한 달간 순매도 규모는 5만5544계약(5조8522억원)에 달한다.
이는 한국은행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인 스탠스와 경기 둔화 우려를 염두에 둔 행보로 풀이된다. 물가상승률이 워낙 높게 나오면서 한국은행이 높은 수준으로 금리를 올리고, 경기 외국인 채권 롤오버 둔화세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5월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한국 시장에 대한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의 매파적인 보고서도 속속 발간되고 있다.
함께 본 인기 뉴스
정대호 KB증권 연구원은 "시장의 우려는 현재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처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더 빠르고 높이 올리는 경우에 기인한다"면서 "한국은행이 지난 5월 수정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을 3.0%에서 2.7%로 하향 조정했지만, 하반기에 추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도 커 인플레이션발 경기 둔화 우려도 본격화되고 있다"고 짚었다.
[채권마감] 3년금리 1년10개월만 최고, 6대 악재 겹친 탓
채권시장이 이틀연속 약세장을 연출했다. 특히, 국고채 3년물 금리는 1.5%대 중반까지 치솟으며 1년10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반적으로 금리가 고르게 올라 일드커브엔 큰 변화는 없었다.외국인 채권 롤오버
밤사이 지표호조에 미국채 금리가 상승한데다, 긴 추석 연휴와 연휴 끝인 23일 새벽(한국시간 기준) 미 연준(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나온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달말로 예정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고승범 금융위원회 위원장, 정은보 금융감독원 원장간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도 경계대상으로 떠올랐다.
- 미국, 델타 변이에 고용 회복세 꺾여…연준 테이퍼링 연기 확실시
-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미국 고용 지표 둔화에도 조기 테이퍼링 주장
- [채권마감] 장기물마저 지붕뚫고 하이킥, 테이퍼링 우려+금융연구원 보고서
앞서 미 8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7% 올라 예상밖 호조를 보였다. 이는 0.8% 감소할 것이라는 시장예측치를 크게 웃돈 것이다.
수급적으로는 긴 연휴를 노린 캐리수요가 종료됨에 따라 매물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외국인이 3년과 10년 국채선물을 동시에 순매도한 가운데 스왑시장에서 페이로 대응한 것도 약세장을 견인했다. 근월물 국채선물 만기일로 월물교체가 이뤄졌고, 추석연휴와 분기말을 앞둔 포지션 조정도 있었다.
채권시장 참여자들은 선물 롤오버와 긴 추석 연휴, 분기말 포지션 조정 등으로 혼란스런 분위기였다고 평가했다. FOMC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경계감과 함께 가계부채와 집값 상승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정부와 금융당국자들간 거금회의도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전했다. 내년초까지 기준금리를 최소한 두 번 더 인상한 1.25%를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금리레벨 외에 우호적 부분이 없는 상황이다. 위축된 심리와 함께 통상 4분기(10~12월)엔 채권시장이 약했다는 경험에 당분간 약세흐름을 지속할 것이란 관측이다. FOMC 결과와 함께 외국인 움직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17일 채권시장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통안2년물은 1.7bp 상승한 1.381%를 보였다. 국고3년물은 2.5bp 오른 1.535%로 2019년 11월12일(1.564%) 이후 가장 높았던 14일(1.535%)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국고5년물은 2.8bp 오른 1.790%로 6월28일(1.793%) 이후 3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국고10년물은 2.5bp 오른 2.068%를, 20년물은 2.7bp 올라 2.089%를, 국고30년물과 50년물은 1.8bp씩 상승해 각각 2.070%를 보였다. 이는 각각 7월(6일 2.119%, 12일 2.096%, 13일 2.071%, 13일 2.07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고10년 물가채는 3.1bp 상승한 0.798%에 거래를 마쳤다. 이 또한 7월23일(0.817%) 이후 최고치다.
12월만기 3년 국채선물은 전장대비 5틱 떨어진 109.67을 보였다. 장중엔 109.74와 109.60을 오가 장중변동폭은 14틱을 기록했다. 미결제는 33만3849계약을, 거래량은 16만3820계약을 기록했다.
9월만기 3년 국채선물은 전장대비 4틱 떨어진 110.14에 거래를 마쳤다. 미결제는 3만6382계약을 남기고 청산됐다. 거래량은 2만9594계약을 보였다. 근월물과 원월물간 합산 회전율은 0.58회였다.
매매주체별로 보면 외국인은 1만7501계약을 순매도해 8거래일째 매도세를 이어갔다. 이는 3월10일부터 19일까지 기록한 8거래일연속 순매도 이후 6개월만에 최장 순매도 기록이다. 반면, 금융투자는 8870계약 순매수로 대응했다. 은행은 4590계약을 순매수해 6거래일째 매수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해 9월29일부터 10월12일까지 보인 6거래일연속 순매수 이후 11개월만에 최장 순매수다.
12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보다 33틱 떨어진 125.97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엔 126.28과 125.80을 오가 장중변동폭은 48틱을 나타냈다. 미결제는 13만5026계약을, 거래량은 6만7940계약을 보였다.
9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보다 24틱 떨어진 126.28을 기록했다. 미결제는 1만6548계약을 남기며 청산됐다. 거래량은 9081계약이었다. 합산 회전율은 0.57회를 보였다.
매매주체별로 보면 외국인은 2152계약을 순매도해 이틀연속 매도하는 모습이었다. 투신도 1228계약을 순매도했다. 반면 금융투자는 2550계약을 순매수해 이틀째 매수 대응했다.
외국인 국채선물 누적포지션 추정치는 3선의 경우 15만4229계약으로 8월12일(15만2838계약) 이후 가장 적었다. 10선의 경우 7만9290계약으로 10일(외국인 채권 롤오버 7만8473계약) 이래 처음으로 8만계약대를 밑돌았다.
현선물 이론가의 경우 3선은 저평 11틱을, 10선은 저평 3틱을 기록했다. 3선과 10선간 스프레드 거래는 전혀 없었다.
근월물과 원월물간 롤오버를 보면 3선의 경우 외국인은 5만8687계약을, 개인은 137계약을 기록했다. 기관도 5만696계약을 보인 가운데 금융투자는 4만1026계약을 보였다. 누적 롤오버 물량을 보면 외국인은 46만3809계약을, 금융투자는 44만7890계약으로 추정됐다.
10선의 경우 외국인은 8619계약을, 개인은 907계약을 보였다. 금융투자는 1만2053계약을 나타냈다. 누적 롤오버 물량을 보면 외국인은 16만7551계약을, 금융투자는 19만700계약을 기록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전일 미국 소매판매 개선에 따른 미국채 금리 상승과 캐리 종료에 따른 매물 출회 전망으로 원화채는 약세 출발했다. 오전중엔 선물 만기에 따른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약세심리가 강하게 작용했다. 만기 이후엔 추석 연휴동안의 불확실성과 월말로 예정된 거시경제금융회의에 대한 경계감으로 금리는 상승폭을 키웠다. 장막판 반발매수가 유입되면서 금리 상승폭을 소폭 줄이며 끝났다”고 전했다.
그는 또 “금리레벨 외에는 특별하게 우호적인 부분이 없다. FOMC 우려와 공격적인 정부 스탠스 등으로 심리가 쉽게 회복될 것 같지 않다. 당분간 약세심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롤오버한 외국인 움직임이 금리상승폭을 좌우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또다른 증권사 채권딜러는 “전반적으로 크게 밀렸다가 회복하면서 마무리됐다. 기술적으로 헤지포지션을 끌고 오면서 오후 잠깐 버티는 모습이었다. FOMC 등 이벤트가 있고 연휴가 긴 것에 비하면 다소 선방한 흐름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긴 흐름으로 보면 10월이든 11월이든 기준금리 인상을 한다는데 방점이 찍혀있다. 내년초까지 기준금리 1.25%를 미니멈으로 보고 있는 분위기다. 역사적으로 3년물과 기준금리 스플을 40bp 정도로 본다면, 기준금리 1.25%에서 3년물 1.6% 위도 가능할 것 같다”며 “미국 연준도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수순이라 한은 기준금리 1.25% 하단설도 좀 더 높여봐야할 상황이다. 4분기에 시장이 크게 흔들렸던 경험까지 감안한다면 강세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딜러는 “미국 지표호조로 미국금리가 상승한 가운데 국내시장은 국채선물 만기에 따른 롤오버와 추석연휴, 분기말을 앞둔 포지션 조정 등으로 혼란스런 장세를 연출했다. 특히 연휴 직후 FOMC가 있다는 점에서 외국인은 선물매도와 함께 스왑페이가 다량으로 나왔다. 반면 국내기관이 받아주지 못하면서 수급은 꼬였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연휴 이후 FOMC 결과는 시장에 큰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분기말에 따른 수급 개선도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이지훈 기자] 채권시장은 10일 보합세로 마감했다.
거래의 중심은 매매보다는 롤오버로 옮겨간 모습이다.
시장 변동성이 낮은 상황이라 평소보다 일찍 시작하는 모양새다.
다음 날엔 2021년 국고채 발행계획이 발표된다.
시장의 관심이 높은 재료이나 이미 알려진 재료로 가격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란 견해가 우세해 보인다.
국고3년 선물 월물간 스프레드는 13틱, 10년 선물은 23틱에 마감했다.
국고3년 월물간 스프레드 매매가 125,616계약, 10년은 67,980계약으로 근월물 거래량보다 많았다.
국고3년 선물은 2틱 상승한 111.72, 국고10년 외국인 채권 롤오버 선물은 1틱 상승한 130.81를 기록했다.
3-10년 스프레드는 1.5비피 축소된 68.0비피, 10-30년 스프레드는 0.3비피 좁혀진 10.2비피를 나타냈다.
21년도 외국인 채권 롤오버 국채발행계획이 다음 날인 11일 발표된다. 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견해가 보인다.
증권사의 한 운용역은 "총발행량이 정해져 있는 상황이라 경쟁입찰로 월 13조원 정도로 보고 있다"면서 "올 하반기 발행량과 비슷한 수준이라 절대 물량에 따른 약세 영향은 크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국고채 2년물이 신설되지만 PD사들이 참여하고 비경쟁옵션도 주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PD사 참여로 2년물의 시장 소화엔 무리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의 한 중개인은 "국고채 2년물 발행에 관심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에 충격을 줄만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