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이 480조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의 ‘2022년 상반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상장사들의 시총은 1월 초 2575조원에서 6월말 2095조원으로 6개월 새 480조원(18%) 이상 하락했다.
특히 올해 1분기 말 시가총액은 2506조원으로 연초 대비 69조원(2.7%) 정도 감소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시가총액 2분기 들어서며 크게 주저앉는 모습을 보였다. 만약 올해 새롭게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의 시총을 제외한다면 하락 규모는 560조원에까지 이른다.
같은 기간 시총 하락세를 보인 곳은 1973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 대상 주식종목의 80.8%로 10곳 중 8곳의 기업이 해당됐다. 시총 증가세를 보인 기업은 431곳(17.7%)에 그쳤으며 37곳(1.5%)은 시총 규모에 변동이 없거나 1월 초 이후 신규 상장됐다.
시총 1조 클럽 역시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던 기업은 올해 1월 초 288곳이었지만 3월 말 273곳으로 줄고 6월 말에는 226곳으로 감소했다. 상반기에만 62곳이나 되는 기업이 시총 1조 클럽에서 밀려난 것이다.
1조 클럽에 포함된 기업들의 시총 하락세도 두드러졌다.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는 삼성전자의 시총은 올해 1월 초 469조원에서 6월 말 340조원으로 128조원 넘게 하락했다. 이 기간 SK하이닉스도 93조5483억원에서 6월 말 66조2482억원으로 33조원 이상 감소했으며 네이버도 61조6824억원에서 39조3717억원으로 22조원 줄었다.
하락장에서도 시총이 1조원 이상 늘어난 기업들에는 ▲현대중공업(4조302억원↑) ▲S-Oil(2조377억원↑) ▲한국항공우주산업(2조372억원↑), KT(1조5927억원↑), 두산에너빌리티(1조3601억원↑), 삼성물산(1조278억원↑) 등이 포함됐다. 특히 누리호 발사 성공에 큰 역할을 시가총액 했던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시총은 1월 초 3조2069억원에서 6월 말에 5조2441억원으로 63.5%라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작년 상반기 시총은 10곳 중 7곳 이상 증가했다면 올해는 대외적인 요인 등으로 상황이 완전히 역전됐는데, 문제는 올 하반기에도 주가가 반등할만한 전환점이 모호하다”라며 “침체된 국내 주식시장 분위기 반전을 위해서는 삼성전자와 카카오 등 IT 대장주를 중심으로 주가 회복이 절실하다”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시가총액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시가총액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 | --> 홈페이지 홈페이지 http://www.daesang.com 전화번호 전화번호 02-2220-9500 | IR 담당자 02-2220-9500 주소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20 종로플레이스
KSE 코스피 음식료품 코스피 음식료품 | FICS 식료품 | --> 12월 결산 --> | K200
PER(Price Earning Ratio) 전일자 보통주 수정주가 / 최근 결산 EPS(주당순이익)
* EPS = 당기순이익 / 수정평균발행주식수
* 최근결산은 2021/12 (연간) 기준임. PER 5.44 12M PER 전일자 보통주 수정주가 / 12개월 Forward EPS 12M PER 6.61 업종 PER 시장대표업종||SUM(구성종목 시가총액)/SUM(구성종목 당기순이익)
* 전일자 보통주 시가총액 기준
* 당기순이익은 최근결산 2021/12 (연간) 기준임. 업종 PER 13.59 PBR(Price Book-value Ratio) 전일자 보통주 수정주가 / 최근 결산기 BPS(주당순자산)
* BPS=(지배주주지분-자기주식) / 무상조정기말주식수(우선주 및 자사주 포함)
* 최근결산은 2021/12 (연간) 기준임. PBR 0.64 배당수익률 *100
* 최근결산은 2021/12 (연간) 기준임. 배당수익률 3.68%
대상 코스피 음식료품 KOSPI
주가추이, 내부자거래
외국인 보유비중, 시가총액
상대수익률 * 상대수익률은 조회시작일의 값을 100포인트로 변환하여 산출된
값입니다.
* 특정일의 상대수익률 포인트는 (특정일의 지수 및 주가/조회 기준
시작점의 지수 및 주가) * 100 입니다.
상대수익률
시가총액(상장예정포함) 시가총액(상장예정포함): 종가*(상장주식수+상장예정주식수), (보통주+우선주)
시가총액(보통주)+시가총액(우선주)
* 상장예정주식수: 유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권리락일(배당락일)이 지났으나, 상장되지 않은 주식수 시가총액 (상장예정포함,억원)
유동주식수/비율 유동주식비율 = 유동주식수 / 지수산정주식수 * 100.
유동주식수 = 지수산정주식수-(최대주주등(본인+특별관계자)+우리사주+자사주+보호예수+정부기관(5%이상)+해외DR). 유동주식수/비율 (보통주)
확정실적 (영업이익, 억원) | 예상실적 (영업이익, 억원) | 3개월전예상실적대비 (%) | 전년동기대비 (%) |
---|---|---|---|
486 | +2.53 | +6.81 |
운용사별 보유 현황
- * 컨텐츠의 보유 수량, 상장주식 내 비중, 운용사 내 비중 값은 최근 분기말에 공시한 공모펀드 보고서 기준이며, 보유수량 기준 상위 10위 까지 운용사를 보여줍니다.
- * 위 내용은 금융감독원 지분공시보고서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단, 자기주식 현황은 별도관리), 주주명은 지분율 상위 6개 까지만 보여집니다.
- * 보통주 지분율이 5%미만이고, 임원이 아닌 주주는 지분공시제출 제외 대상으로서 표시할 수 없습니다.
주주구분 현황
- * 주주 구분자별 지분율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
신용등급현황 기업어음 (CP)
KIS | KR | NICE |
---|---|---|
관련 데이터가 없습니다. |
신용등급현황 회사채(Bond)
KIS | KR | NICE |
---|---|---|
AA- [2022/05/10] | AA- [2022/04/27] | AA- [2022/04/29] |
투자의견 컨센서스
투자의견 | 목표주가 | EPS | 시가총액 시가총액PER | 추정기관수 |
---|---|---|---|---|
4.0 | 31,667 | 2,870 | 7.6 | 6 |
- * 1=Sell, 2=U/Weight, 3=Neutral, 4=Buy, 5=S/Buy
- * EPS, PER 은 FY1에 대한 증권사 평균 추정실적임.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투자의견 분포
Business Summary
실적개선에 노력
- 동사는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 제조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1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1970년 상장함. 식품사업은 국내 대표적인 종합 식품 브랜드인 '청정원'을 중심으로 '순창고추장' 등 전통 장류부터 '미원' 등의 조미료류, 식초, 액젓 등의 농수산식품, 서구식품, 육가공식품, 냉동식품 등을 판매 소재사업은 국내 최대의 전분 및 전분당 생산규모를 보유한 전분당 사업과 바이오 사업으로 구성됨.
-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8% 증가, 영업이익은 21.5% 감소, 당기순이익은 28.9% 감소. 베트남의 경우, 2020년 현지 식품 공장을 확대 이전하여 최근 매출 성장을 이루고 중국 연운항의 신규 공장은 2020년 9월 말 준공 허가를 받아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함. 제조사 및 수입 Agent 직거래 시가총액 및 총판, 대리점 계약을 통한 유통마진을 축소하여 영업소별 대량비축구매 및 재고 확보가 가능.
글로벌 경쟁사 비교
대상 7,750 억원 (100점만점기준) 대상 34,700 억원 (100점만점기준) 대상 5.44 배 (100점만점기준) 대상 12.48 % (100점만점기준) Viet Nam Dairy Products 92,064 억원 (100점만점기준) Viet Nam Dairy Products 35,455 억원 (100점만점기준) Viet Nam Dairy Products 16.76 배 (100점만점기준) 시가총액 Viet Nam Dairy Products 32.72 % (100점만점기준) Indofood Sukses Makmur 50,891 억원 (100점만점기준) Indofood Sukses Makmur 91,398 억원 (100점만점기준) Indofood Sukses Makmur 7.24 배 (100점만점기준) Indofood Sukses Makmur 16.86 % (100점만점기준) Mayora Indah 36,203 억원 (100점만점기준) Mayora Indah 25,672 억원 (100점만점기준) Mayora Indah 33.16 배 (100점만점기준) Mayora Indah 10.72 % (100점만점기준)
KDI 경제정보센터
주식시장에서는 수많은 주식 종목이 거래된다. 주식 종목이란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고유 명칭이다. 종목마다 발행회사가 따로 있으므로 보통 발행사 이름을 따라 종목명을 구분해 붙인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 ‘국민은행’ 식이다. 주식 매매는 종목별로 하는데, 주식시장 전체를 놓고 보면 거래되는 종목이 하도 많아서 종목별 시세를 아무리 뜯어봐도 시장 전반의 시세가 오름세인지 내림세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래서 주가지수를 만들어 쓴다.
주가지수의 ‘지수’(指數 index)란 상품의 값이나 수량이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달라졌는지 측정해 비교할 목적으로 만들어 쓰는 통계 값이다. 지수를 만들기 위해 흔히 쓰는 방법은, 기준시점 값을 100으로 놓고 비교하려는 시점 값이 기준 값에 비해 얼마나 큰지 구하는 것이다. 주가지수도 시가총액 같은 방식으로 만든다. 지난해에 100원이던 주가가 올해 120원이라면 지난해 기준으로 올해 주가지수는 120이다. 단위는 포인트(P). 곧 120포인트다.
주가지수는 주가가 어떻게 변하는지 쉽게 나타낸다. 종목별로 만들어 쓸 수도 있지만 여러 종목의 주가 변동을 종합한 종합주가지수를 만들면 업종이나 규모별 혹은 그 밖의 다양한 범주로 여러 종목의 시세 흐름을 묶어 알기 쉽게 나타낼 수 있다.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우리나라의 대표적 정규 주식시장인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상장종목 전체 주가의 움직임을 지수로 산출한 종합주가지수를 만들어 쓴다. 예전 공식 명칭은 ‘한국종합주가지수’(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였는데 2005년 11월 1일부터 ‘코스피(KOSPI)지수’로 바뀌었다.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 주식을 주로 거래하는 코스닥시장은 ‘코스닥지수’를 대표지수로 쓴다. 예전 공식 명칭은 코스닥종합주가지수였으나 한국종합주가지수가 코스피지수로 되면서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다.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증시의 전산 매매 시스템을 운영하는 KOSCOM(옛 한국증권전산주식회사)에서 정규 증시 운영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사이에 10초마다 산정해 발표한다. 주가지수는 종류도 많고 쓰임새도 많다. 코스피지수나 코스닥지수처럼 증시에 상장한 종목 전체를 대상으로 만드는 종합주가지수 외에 대표종목만 골라서 만드는 종합주가지수, 업종별로 만드는 종합주가지수, 시가총액 규모별로 만드는 종합주가지수 등 여러 가지 종합주가지수가 만들어져 쓰이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어떻게 만드나?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둘 다 ‘시가(시장가격)총액’식으로 만든다. 주식 시가총액은 발행주식 수에 시가총액 주식 단가(1주당 시세)를 곱하면 구할 수 있다. 오늘 현재 증시에 상장된 각 종목(보통주)의 시가총액을 구한 다음 그 결과를 전 종목에 걸쳐 모두 더하면 오늘 현재 상장종목 전체의 시가총액을 구할 수 있다. 이 금액이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비교해 몇 배나 되는지 계산해 보면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같은 종합주가지수를 구할 수 있다.
코스피지수 작성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 이 날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전 종목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놓았을 때 오늘 현재 시가총액이 얼마나 되는지를 다음 식을 따라 구하면, 오늘의 코스피지수 값이 나온다.
2009년 8월 10일 장중 코스피지수는 종가 기준으로 1,575포인트 수준이다. 간단히 말하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주식의 전체 시세가 기준시점인 1980년 1월 4일에 비해 15.75배 정도 높아졌다는 얘기다.
코스닥지수 산출 기준일은 1996년 7월 1일. 1,000포인트가 기준단위다. 본래는 기준 값을 100포인트로 잡고 지수 산출을 시작했는데 2004년 1월부터 1,000포인트로 바꿨다. 바꾼 이유는, 코스닥지수가 다른 나라 주가지수에 비해 너무 많이 떨어져서다. 코스닥지수는 2000년 3월 사상 최고치인 292.55포인트까지 간 이후 급락해서 2003년에는 세계 어느 나라의 주가지수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낮은 수준(37포인트)까지 지수 값이 떨어졌다. 그래서 2004년 1월 26일부터는 기존 지수에 10을 곱해 기준 값을 1,000포인트로 바꿨다.
다우지수, 나스닥지수
다우지수, 나스닥지수는 미국 증시에서 만들어 쓰는 대표적 종합주가지수다. 미국 증시는 여러 개가 있는데 그중 가장 시가총액 대표적인 것이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이다.
다우지수는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종목이 만들어내는 주가의 추이를, 나스닥지수는 나스닥시장 상장 종목 전체의 주가 추이를 종합해 만든다. 뉴욕 증권거래소는 1792년 출범 이래 미국뿐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증권시장이다. 전통적으로 크고 오래된 미국 기업과 외국 기업들이 증권을 상장해 유통시킨다. 나스닥시장은 1971년 2월 18일 출범했다. 규모나 안정성, 신용도는 뉴욕 증시 상장기업보다 못하지만 장래 고수익을 낼 잠재력이 있는 벤처기업과 첨단 정보기술(IT) 관련 기업들이 많이 참여한다.
뉴욕 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인 다우지수는 본래 명칭이 다우존스(Dow Jones) 지수다. 1896년 미국의 유명 경제신문인 월스트리트저널(WSJ)을 공동 창업한 미국인 찰스 다우와 에드워드 존스가 고안하고 두 사람의 이름을 따 붙인 것이다. 지금도 뉴욕에 있는 다우존스社가 지수를 만들어 발표하고 있다.
흔히 ‘다우지수’라고 부르지만, 실제 다우지수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운송(운수업)평균지수, 공공(공공업종)평균지수 등 종류가 여러 가지다. 이 중 가장 대표 격 종합주가지수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다. 보통 ‘다우지수’ 하면 이걸 말한다.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개 대표 종목의 시세 변동을 기준으로 만들기 때문에 흔히 ‘다우존스 30 산업(공업)평균지수’라고도 부른다.
다우지수는 시가총액식이 아닌 ‘다우존스식’으로 만든다. 다우존스식이란 증시에 상장된 종목 중 비교적 거래가 활발하고 주가 동향을 잘 반영하는 몇 개 종목만 대표로 시가총액 고르고, 이들 종목의 시세를 단순 평균 내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주가를 비교해 주가지수를 구하는 방식이다. 주가평균식이라고도 부른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뉴욕 증시를 상대로 지수산출 대상 종목을 30개로 정한 1928년 10월 1일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있다.
나스닥지수는 다우지수와 달리 시가총액식으로 지수를 만든다. 단, 코스피지수처럼 단순 시가총액식이 아니라 상장된 모든 보통주에 시가총액에 따라 가중치를 주고, 비교시점 주가에 상장주식 수를 곱한 전체 시가총액과 기준시점 주가에 상장주식 수를 곱한 전체 시가총액을 대비시켜 주가지수를 구한다. 1971년 2월 5일의 시가총액을 기준시점 지수 값(100포인트)으로 삼고 나스닥시장 운영자인 미국증권업협회가 산출하고 있다.
닛케이지수, S&P 500지수
일본 증시의 대표적 종합주가지수인 ‘닛케이(NIKKEI 日經) 지수’도 다우존스식처럼 주요 종목 225개를 골라서 만드는 종합주가지수다. 일본의 유수 일간신문 니혼케이자이(日經)가 도쿄 증권거래소 상장 종목 중 주요 종목 225개의 주가 평균치로 만드는 지수이기 때문에 ‘닛케이 225’라고도 부른다.
S&P 500지수는 국제적으로 명성이 있는 미국의 민간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tandard & Poor’s)가 주로 미국의 선도 기업이 발행한 500개 종목을 대상으로 만들어 발표하는 종합주가지수다. S&P 500지수 역시 나스닥지수처럼 시가총액식으로 지수를 만드는데, 나스닥지수와는 방식이 또 다르다. 먼저, 지수 작성 대상 종목별로 주가에 상장주식 수를 곱해 시가총액을 구한다. 기업의 시장가치에 따라 가중치를 두는 셈이다. 이렇게 구한 전체 시가총액 합계를 지수 작성 기준년도인 1941~1943년의 평균 시가총액으로 나눈 다음 기준시점의 지수(10포인트)를 곱해서 종합주가지수를 만든다.
0 개 댓글